조선의 일곱 후궁 모신 ‘칠궁’ 랜선 관람

조선의 일곱 후궁 모신 ‘칠궁’ 랜선 관람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9-09 02:10
업데이트 2020-09-09 04: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칠궁(七宮)
칠궁(七宮)
경복궁 북서쪽 청와대 옆에 자리한 칠궁(七宮)은 조선의 왕을 낳았지만 왕비가 되지 못한 일곱 후궁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다.

2018년 6월 이전에는 청와대 특별관람객만 들어갈 수 있었으나 시범 개방을 거쳐 지난해 1월부터 안내해설사를 동반한 시간제 제한 관람으로 바뀌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경복궁관리소는 코로나19로 중단된 칠궁 답사 프로그램인 ‘표석을 따라 듣는 칠궁이야기’를 온라인 교육 영상으로 제작해 9일부터 공개한다. 신병주 건국대 사학과 교수가 출연해 칠궁과 관련한 역사와 인물 이야기를 들려준다.

칠궁은 영조가 어머니 숙빈 최씨를 기리기 위해 1725년 지은 ‘숙빈묘’에서 시작됐다. 1753년 육상궁으로 격을 높였다. 고종 19년(1882) 화재로 불타 이듬해 중건했는데 이후 영조 후궁이자 추존왕 진종을 낳은 정빈 이씨(연호궁), 추존왕 원종 생모 인빈 김씨(저경궁), 경종 생모 희빈 장씨(대빈궁), 사도세자 생모 영빈 이씨(선희궁), 순조 생모 수빈 박씨(경우궁), 영친왕 생모 순헌귀비 엄씨(덕안궁) 등 흩어진 후궁들의 사당을 모아 칠궁이 됐다. 동영상은 문화재청(www.cha.go.kr), 궁능유적본부(royal.cha.go.kr), 경복궁관리소(royalpalace.go.kr) 홈페이지와 각 기관 소셜미디어 채널에서 시청할 수 있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9-09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