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순간까지 펜 놓지 않아… 유작 ‘추억마저 지우랴’ 이르면 이달 출간

마지막 순간까지 펜 놓지 않아… 유작 ‘추억마저 지우랴’ 이르면 이달 출간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9-06 22:04
업데이트 2017-09-06 23: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편 21편 묶어 편집 마쳐

지난 5일 별세한 마광수 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최근까지 새 소설집 출간을 준비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숨지기 직전까지 창작을 멈추지 않았던 고인의 유작은 이르면 이달 출간될 예정이다.

윤석전 어문학사 대표는 6일 “단편 21편을 묶어 ‘추억마저 지우랴’라는 제목으로 내기로 해 편집까지 마친 상태인데 갑자기 돌아가셨다”며 “유족과 상의해 이달 안에 출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마 전 교수는 어문학사에서 소설 ‘나는 너야’(2015)와 ‘나만 좋으면’(2015), 에세이 ‘인간에 대하여’(2016) 등을 펴냈다.

윤 대표는 “사흘 전 통화하면서 단편집·중편·장편소설 순서로 내보자고 얘기했다”며 “중편은 이미 완성됐다고 들었는데 원고는 미처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고인은 첫 장편인 ‘권태’(1989)가 생각보다 많이 팔리지 못했다며 재출간도 계획하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달 나올 ‘추억마저 지우랴’는 370쪽가량의 소설집이다. 파티 장면으로 시작하는 단편 ‘카리스마’는 소심하고 세상을 무서워하는 한 여성이 마초적인 남성으로부터 사랑을 구하는 내용이다. ‘변태는 즐거워’, ‘박사학위와 오럴 섹스’, ‘고통과 쾌감 사이’ 등 단편의 제목이나 머리말을 대신해 쓴 서시 ‘그래도 내게는 소중했던’에서 고지식한 지식사회에 금을 냈던 고인의 솔직함이 드러난다.

‘시들하게 나누었던 우리의 키스/어설프게 어기적거리기만 했던 우리의 춤/시큰둥하게 주고받던 우리의 섹스//기쁘지도 않으면서 마주했던 우리의 만남/울지도 않으면서 헤어졌던 우리의 이별/ 죽지도 못하면서 시도했던 우리의 정사(情死)’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9-07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