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보다 안전한 밤? …야간관광 ‘포스트 코로나’ 돌파구 될까

낮보다 안전한 밤? …야간관광 ‘포스트 코로나’ 돌파구 될까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0-05-19 14:06
업데이트 2020-05-19 14: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관광공사 야간관광 프로그램 개발에 적극 나설 듯

이미지 확대
경남 사천의 삼천포대교 야경. 한국관광공사 제공
경남 사천의 삼천포대교 야경. 한국관광공사 제공
야간관광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내 관광산업에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

한국관광공사는 19일 ‘야간관광실태조사 및 활성화방안’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야간관광 지출액에 따른 관광객 직접지출효과는 3조 9000억원, 생산유발효과는 약 7조원, 고용창출효과는 약 4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해 ‘국민여행조사 및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의 야간활동 비율 및 지출액에 야간관광이 정책적으로 추진됐을 경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30% 정도의 기대치가 더해진 수치다.

관광당국이 야간관광에 관심을 두는 건 숙박일수때문이다. 숙박일수가 늘수록 관광객 주머니에서 나오는 돈이 많아지고 각종 경제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야간관광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다. 가장 적극적인 곳은 일본이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민간 연구기관인 ‘프로젝트 수’의 정란수 대표에 따르면 일본은 올해 야경관광컨벤션뷰로라는 조직을 만들어 야간, 조조 시간대의 여러 관광 정책들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110억 원 규모의 예산도 확보했다고 한다.

호주는 ‘비비드 시드니’, 독일은 ‘롱 나이트 오브 뮤지엄’ 등의 프로그램으로 야간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중국과 영국, 미국 등도 야간 관광과 관련된 별도의 조직, 혹은 중장기 플랜을 통해 각종 정책과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다.
이미지 확대
충남 부여 정림사지 야경. 한국관광공사 제공.
충남 부여 정림사지 야경. 한국관광공사 제공.
우리의 경우 문화재 야행 등 몇몇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다만 문화 콘텐츠의 육성 및 특화 등을 목표로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게 문제다. 정 대표는 “야간 관광에 대한 우리의 기술 수준은 매우 높은 편이지만 지방자치단체 등 주체별로 콘텐츠가 나뉘어 있고 관련 정책 역시 파편화되어 있는 게 문제”라며 “야간관광에 대한 각종 콘텐츠와 정책들을 집중해야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야간관광과 관련한 구체적인 로드맵은 아직 정해진 게 없다. 다만 문화체육관광부와 관광공사에서도 이 문제를 인식하고 야경관광 시범도시 운영 등 여러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