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한 경험, 따가운 시선…시 쓰는 데는 힘 됐죠”

“불편한 경험, 따가운 시선…시 쓰는 데는 힘 됐죠”

입력 2015-08-10 07:31
업데이트 2015-08-10 07: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뇌성마비 이시형 학생, 양발로 시 써 대산청소년문학상 금상

”내 대뇌는 고기압이다 / 운동신경이 있을 저기압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았다 // 난 월요일, 화요일을 집어 삼킨 시간의 파도에 휩쓸렸다 / 정신을 차리고 보니 내가 있는 곳은 수요일 7교시, / 체육 시간이라는 외딴섬이었다 / 내가 섬에 도착한 시간에 원주민들은 / 벌써 사냥을 하고 있었다”(시 ‘멈추다’ 일부)

서울 구암고등학교 3학년 이시형(18) 학생은 태어날 때부터 뇌성마비(지체장애 1급)를 앓아 양손을 쓰지 못한다. 일반 학교에 다니지만 체육 시간에는 ‘외딴 섬’에 있는 듯 멀찍이 앉아 친구들을 바라본다.

그런 이 군이 올해 열린 제23회 대산청소년문학상 고등 시 부문에서 400여 명의 경쟁자를 제치고 최고상 금상을 공동 수상했다. 시 ‘멈추다’는 그가 수상 후보 학생들과 떠난 문예 캠프에서 써낸 작품이다.

지난 6일 서울 관악구 봉천동 자택에서 만난 이 군은 “몸에 불편함이 있지만 남들과 다른 몸으로 태어나 남과 다른 경험을 한다는 게 한편으로는 장점”이라며 “따가운 시선이 오히려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 군은 작년 가을 교내 백일장 대회에 써낸 단편소설로 2등 상을 받으면서 문학에 소질을 발견했다. 소설은 어머니와 갈등 끝에 집을 나간 주인공이 자신보다 더 불행한 사람을 만나면서 행복함을 배우는 내용이었다.

이 군은 부모님도 모르는 사이 자기 방에서 혼자 발로 노트북 자판을 두드려 작품을 썼다. 작품을 본 문학 선생님이 문예창작과 지원을 권유한 이후 이 군은 작가로서 꿈을 키우고 있다.

이 군은 “방에 앉아 게임을 주로 하다 어느 순간 글을 쓰기 시작했다”면서 “속에 있는 것, 늘 담아두고 살던 말들을 글로 푸니까 정말 후련했다”고 털어놨다.

어머니 김경숙씨는 “그때는 아들에게 꿈이 생겼다는 사실만으로 정말 기분이 좋았다”면서 “요즘은 새벽까지 시를 쓰느라 잠을 못 자더라”고 말했다.

이 군 작품에는 불편한 몸으로 생활하는 부담감, 사람들의 따가운 시선, 4남매의 셋째로 태어난 이 군이 누나들과 남동생에게 느끼는 미안함 등 복잡한 심정이 여실히 드러난다.

”어머니의 바구니에서 꺼내지던 도중 / 운동신경이 깨져버린 전 / 항상 흔들리는 잔이에요 / 형제들에게서 부모님의 사랑 뺏어간, 매일 무게감 있는 잔이에요”(시 ‘잔’ 일부)

그는 “부족하지만 제 작품에는 진정성이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앞으로는 저보다 더 잘 쓰는 사람들의 작품을 보고, 대학교에서 새로운 경험을 하면서 실력을 더 쌓고 싶다”고 말했다.

언젠가 자신처럼 몸이 불편한 사람을 대변하는 글을 쓰고 싶다는 그는 “몸이 불편해도 마음은 다 똑같다. 사람들이 편견을 갖지 않고 장애인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