쉿! 떠들다간 혼나는 재즈

쉿! 떠들다간 혼나는 재즈

입력 2013-04-29 00:00
업데이트 2013-04-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키스 자렛 트리오 새달 19일 공연

1983년 1월 재즈피아니스트 키스 자렛(당시 38세)은 베이시스트 게리 피콕(당시 48세), 드러머 잭 드조넷(당시 41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오랜 협력관계를 이어온 독일 재즈레이블 ECM의 설립자 만프레드 아이허의 제안에 따른 것. 자렛은 ‘아이 폴 인 러브 투 이질리’ 같은 1930~1950년대 고전을 녹음하길 원했다. 당시 현대 재즈음악의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었지만, 개의치 않았다. 더군다나 이들은 이미 한 차례 호흡을 맞춘 바 있다. 1977년 피콕의 ECM 데뷔작 ‘테일스 오브 어나더’를 녹음하면서 서로 능력을 눈여겨봤다. 1984~1985년 잇따라 발표된 ‘체인지’ ‘스탠다즈 볼륨1’ ‘스탠다즈 볼륨2’ 등 석 장의 앨범을 통해 이들의 궁합은 고스란히 드러났다. 재즈역사에 굵은 족적을 남긴 키스 자렛 트리오는 이렇게 시작됐다.

열다섯 장의 라이브앨범과 석 장의 스튜디오 레코딩 앨범을 발표할 때마다 화제를 모은 키스 자렛 트리오가 새달 19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두 번째 내한공연을 한다. 트리오 결성 30주년을 맞으면서 막내(?)인 자렛을 제외한 두 멤버는 어느덧 일흔살을 훌쩍 넘겼다. 하지만, 이들의 연주력과 호흡에 대해 의구심을 가질 필요는 없다. 3년 전 첫 내한공연에서 이들은 이미 ‘명불허전’의 연주력을 뽐냈다. 최고령인 피콕은 여전히 민첩했고, 디조넷의 심벌은 섬세했다. 트레이드마크인 엉거주춤한 자세와 즉흥연주에 몰입할 때 터져 나오는 묘한 신음소리 등 자렛의 피아노는 경탄을 자아냈다.

돌발사건 때문에 이 공연은 더욱 유명해졌다. 까다롭기로 소문난 자렛은 사전에 기획사를 통해 관객의 사진촬영은 절대 안 된다고 당부했다. 하지만, 첫 번째 앙코르가 끝난 뒤 한 관객이 카메라 플래시를 터뜨렸다. 자렛은 마이크를 잡고 사진을 찍은 관객을 직접 저주했다. 그리고선 두 번째 앙코르곡 ‘웬 아이 폴 인 러브’를 연주했다. 6만~22만원. (02)2187-6222.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04-29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