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2일밤 ‘다큐10+’
고등교육이 돈벌이의 수단으로 전락한 건 어제 오늘 일은 아니다. 자본주의의 첨단 미국에는 영리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대학이 있다. 규모가 큰 영리대학은 월가(街)에 상장되기도 한다. 하지만 몇 년 전부터 우려도 터져 나온다. 매년 연방정부로부터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기금을 지원받지만, 교육의 질이나 학생의 장래보다는 수익에만 몰두하기 때문. 미국 대학을 모델 삼아 생산성(?)이 떨어지는 학문 단위는 폐쇄 혹은 축소하고, 건물과 강의실은 기업가치를 홍보하는 전시장으로 탈바꿈하는 등 기업화를 추구하는 국내 대학과 이를 방조하는 교육당국이 눈여겨볼 대목이다.EBS는 22일 ‘다큐10+’에서 대학을 기업처럼 수익 창출을 목표로 운영하는 미국의 영리대학들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본다.
EBS 제공
EBS 제공
미국 영리대학의 아버지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출신의 인문학자 존 스펄링이다. 1976년 스펄링은 피닉스대학을 세우고 대학을 기업처럼 운영하는 모델을 제시했다. 2009년 연간 매출액은 40억 달러, 순수익은 5억 9800만 달러에 이른다. 그 자체로 하나의 기업인 셈. 물론, 상장도 돼 있다. 공식적으로 학사, 석·박사 등의 학위를 수여하기 때문에 학위가 필요한 많은 사람들이 등록한다. 학부생 약 42만명에 대학원생은 7만 8000명이 등록돼 있다. 학생 수로 볼 때 미국에서도 가장 규모가 큰 대학으로 꼽힌다. 학기가 시작하는 때는 정해져 있지 않다. 강사는 단기계약으로만 채용한다. 다양한 교과과정을 제공하고, 새 강좌 개설이 쉽고, 온라인 강좌도 적극 활용한다. 간호나 정보통신(IT), 경영 등 기업들의 인력수요가 많은 분야에 선택과 집중을 한 덕에 빠르게 성장했다. 최소비용으로 최대 이익을 추구하는 피닉스대학의 성공 이후 미국에는 많은 영리대학이 생겨났다. 현재 이런 종류의 대학만 200개가 넘고, 그 숫자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문제점도 적지 않다. 영리대학의 학비는 평생교육기관인 지역사회대학보다 5~6배, 주립대보다는 2배 이상 비싸다. 수입의 20~30%는 마케팅 비용으로 쓴다. 입학이 결정되면 연방정부의 학자금 지원과 대출을 알선해 준다. 하지만 비싼 학비와 마구잡이식으로 학생을 유치한 탓에 대출금을 갚지 못하는 비율이 일반대학보다 훨씬 높다. 교육 내용이 광고보다 부실한 대학도 적지 않다. 오바마 1기 행정부는 미국의 대졸자 비율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장담했지만, 지역사회대학과 주립대학이 막대한 고등교육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현실이라 영리대학에 대한 규제와 감독은 쉽지 않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2-11-2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