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직한 듯, 은은하게… 말러에 물든 서울의 밤

묵직한 듯, 은은하게… 말러에 물든 서울의 밤

입력 2011-11-16 00:00
업데이트 2011-11-16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베를린 필 3년만에 내한공연

히스테리를 분출하듯 요란법석한 타악기에 의한 종결부. 3악장이 끝났을 때 이미 턱밑까지 숨이 차올랐다. 그리고 딱 호흡을 뱉어내더니 곧바로 4악장. 영원불멸의 시간을 향해 달려가던 오케스트라의 소리가 조금씩 잦아들수록, 오히려 심장이 터져버릴 듯 긴장감은 고조됐다. 최종적으로 완전한 무(無)의 세계. 콘서트홀에는 아슬아슬한 침묵이 흘렀다. 지휘자 사이먼 래틀 경(卿)과 베를린 필하모닉 단원들은 그대로 화석이 된듯 멈춰섰다. 구스타프 말러의 교향곡 9번은 여음이 사라진 뒤에도 한동안 박수를 치지 않는 것이 에티켓. 다행스럽게도 섣부른 ‘브라보’는 튀어나오지 않았다. 40여초쯤 흘렀을까. 마침내 래틀 경이 양 팔을 내리고 박수를 받을 준비가 돼 있음을 알렸다. 다섯 차례의 강렬한 커튼콜과 함께 베를린필이 3년만에 한국에서 공연한 첫날밤은 저물었다. 15일 밤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에서였다.

이미지 확대
베를린 필하모닉이 상임 지휘자이자 ‘말러리안’(말러의 작품을 열광적으로 좋아하는 음악팬)인 사이먼 래틀 경의 지휘 아래 15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말러의 교향곡을 연주하고 있다.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제공
베를린 필하모닉이 상임 지휘자이자 ‘말러리안’(말러의 작품을 열광적으로 좋아하는 음악팬)인 사이먼 래틀 경의 지휘 아래 15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말러의 교향곡을 연주하고 있다.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제공




129년을 쌓아온 베를린 필의 내공은 명불허전(名不虛傳). 2002년부터 10년째 호흡을 맞춰왔고, 이미 2018년까지 계약을 연장한 래틀 경과의 호흡은 두말할 나위가 없었다. 또 “나의 DNA 속에는 말러가 들어 있다. 난 뼛속 깊은 말러리안(말러 애호가)”이라고 래틀 경이 자신 있게 말한 까닭을 알 만했다.

물론 베를린 필이 특별한 까닭은 그들의 연주력이나 명성 때문만은 아니다. 2002년 래틀 경이 제8대 지휘자로 취임하면서 재단법인화를 이뤄냄과 동시에 ‘음악으로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다가가기’란 구호를 내걸고 어린이·청소년 교육 프로그램과 디지털콘서트홀(공연실황 생중계 및 자료실 운영), 심야콘서트(밤 10시 30분 이후 이뤄지는 10유로짜리 저가 공연) 등 대중과의 소통을 넓혀가고 있기 때문이다.

래틀 경은 공연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어 “음악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어야 하고, 모든 이들은 오케스트라 연주를 들을 동등한 기회가 있어야 한다.”면서 “좋은 음악을 들으면 그들의 삶이 바뀔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음악은 공기나 물처럼 우리에게 너무나 필요한 부분이다. 난 운이 좋아서 어릴 때부터 음악을 접했지만 그러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베를린 필 공연 리허설 때 다만 30분이라도 유치원생 등을 입장시켜 느끼도록 하고 있다. 어릴 때부터 ‘음악 바이러스’에 전염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베를린 필은 이날 리허설 때도 마리아수녀회가 운영하는 부산 소년의집 알로이시오 심포니 단원 등 소외계층 청소년 200여명을 초대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11-16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