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런던의 풍경서 한국을 다시 기억하다

영국 런던의 풍경서 한국을 다시 기억하다

입력 2011-06-04 00:00
업데이트 2011-06-0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성실 ‘그린&블루’ 展

“돌고 돌아 다시 원점이더군요. 딱 ‘연금술사’(파울루 코엘류의 소설)예요. 가장 소중한 보물은 멀리 바깥에 있는 게 아니라 처음부터 우리 집에 있었던 거죠.”

이미지 확대
박성실의 ‘하늘을 나는 물고기’
박성실의 ‘하늘을 나는 물고기’


오는 14일까지 서울 인사동 토포하우스에서 열리는 ‘그린(Green) & 블루(Blue)’전에 나온 박성실(47) 작가의 작품은 주로 자연의 풍경을 그린 것들이다. 사진처럼 그려 놨다는 점을 빼면 심심해 보이기도 한다. 17년간 살았던 영국 런던의 풍경이라는 설명을 빼놓고 보면 그림의 배경이 어디인가도 알기 어렵다.

작가의 원래 작업은 방향이 완전히 달랐다. 회벽 칠하고 붉은 흙을 올려 생긴 갈라진 틈을 이용한 추상화 작업을 했다. 1987년 ‘젊은 작가 100인전’에서 비록 97번으로 가까스로 턱걸이했지만 100인 안에 들자 “시집 갈 돈으로 유학 가라.”는 아버지 허락을 얻어 영국으로 건너갔다. 출발할 때는 현대미술의 끝을 보자는 심정이었다.

그런데 영국에서 오히려 동양적 정서에 푹 빠졌다. “귀족 친구 한 명을 사귀게 됐는데, 그 친구가 그러더군요. 한국과 일본처럼 대비되는 게 영국과 프랑스라고. 정원을 좋아하지만 영국은 자연 그대로의 정원을, 프랑스는 인공적으로 꾸민 정원을 선호해요. 물론 완전히 자연스러운 건 아니에요. 자세히 들여다보면 나뭇가지가 똑같은 높이에서 시작하거든요. 사람 손이 들어가되 안 들어간 것처럼 하는 거죠. 그런 영국의 풍경에서 한국을 다시 기억해 낸 겁니다.”

작가의 고향은 전북 무주 구천동. 훌륭한 화가가 되기 위해 한동안 잊고 지내야만 했던, 숲과 물을 보며 선머슴처럼 자랐던 어릴 적 기억들이 되살아났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삶의 태도도 달라졌다.

그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다. 그럼에도 해외 포교로 유명한 숭산 스님을 찾아가 불교에 대해 배우기도 했고, 노장사상 책들도 뒤져 보기 시작했다. 생태 공동체운동으로 유명한 스코틀랜드의 핀드혼 공동체도 직접 찾아가 봤다.

“정말 신기하게 그쪽 사람들이 오히려 동양사상을 저보다 더 많이 알고 더 많이 공부해요. 어떤 분은 ‘되돌아갈 수 있을 때 되돌아가는 것이 진짜 진보’라는 말씀도 해주시대요. 정작 우리는 남 따라잡느라 다 버린 것들을 그들이 소중하게 잡고 있더라고요.”

전시는 사진작가 박소연의 작품과 함께 이뤄진다. (02)734-7555.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6-04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