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현대미술 총정리… 해외에 알리고 싶어”

“우리 현대미술 총정리… 해외에 알리고 싶어”

입력 2011-05-21 00:00
업데이트 2011-05-21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현대미술 해외진출’展 여는 김달진 미술연구소장

한국의 현대미술을 미술사 차원에서 총정리한 사람이 있다. 김달진(56) 김달진미술연구소장이다. 그는 오는 26일부터 7월 23일까지 서울 창전동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서 ‘1950년대 이후 한국 현대미술의 해외진출-전개와 위상’ 전시를 연다.
이미지 확대
김달진 미술연구소장
김달진 미술연구소장


김 관장은 “해외에서는 한국 현대미술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음에도 우리는 일목요연하게 보여줄 만한 자료가 없다.”면서 “전시를 통해 관련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했으니 그 자료를 책으로 묶어 해외 큐레이터들에게도 우리를 소개하고, 국내 미술사 연구자들도 참고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가장 의미있는 전시는 1975년 도쿄전

가장 눈에 띄는 시도는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시를 꼽아본 것. 프랑스에서 활동하고 있는 독립 큐레이터 김승덕, 화가 박서보, 미술평론가협회장 서성록, 민중미술계의 대부 격인 윤범모, 오광수 한국문화예술위원장 등 한국 현대미술 전반에 대해 발언할 수 있는 전문가 12명을 상대로 조사했다.

가장 의미 있는 전시로는 1975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국 5인의 작가, 다섯가지 흰색전’(포스터)이 꼽혔다. 1970년대 서양추상회화가 한국적으로 소화되면서 모노크롬(단색화) 화풍이 일어났는데 이 화풍이 권영우, 박서보, 서승원, 허황, 이동엽 등 작가 5명의 작품으로 소개된 전시다. 이 전시 이후 한국 화단에 본격적으로 모노크롬화가 등장했다.

2위에는 1992년 영국 리버풀 테이트갤러리에서 열린 ‘자연과 함께’ 전시가 꼽혔다. 이 역시 정창섭, 윤형근, 김창열, 박서보, 이우환, 이강소 등 모노크롬화풍의 작가들이 대거 참여했다. 1980년대 뜨거운 시대적 분위기를 담아 1988년 미국 뉴욕에서 열린 ‘민중미술전-한국의 새로운 문화운동’ 전시도 호평을 이끌어낸 명전시 가운데 하나로 꼽혔다.

갈등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1963년 ‘상파울루비엔날레’와 ‘파리비엔날레’ 참여 작가 선정을 두고 너무 추상화에 치우쳤다며 구상화가들이 대대적으로 반발한 사건이다.

이들이 돌린 연판장에 108명의 작가가 서명, ‘108인 연서 소동’이라 불린다. 이는 참여작가 선정을 두고 복마전이라 불릴 만큼 한국 현대미술계가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도록·포스터·신문기사·영상 등 총망라

이런 내용을 포함해 1953년 조각가 김종영(1915~1982)이 영국 테이트갤러리에 입상한 작품을 전시한 것에서부터 한국이 국가 단위로 처음 참가한 1961년 프랑스 파리비엔날레, 국제전 초청을 처음 받았던 1963년 브라질 상파울루 비엔날레, 일본에 한국 현대화를 본격적으로 소개했던 1968년 한국현대회화전, 한국관이 처음 만들어졌던 1995년 이탈리아 베니스비엔날레까지 40여년 역사가 총정리됐다. 당시 도록, 팜플렛, 포스터, 신문·잡지기사는 물론 전시 영상까지 총망라됐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5-21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