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만화경]‘뽕똘’

이용철의 영화만화경]‘뽕똘’

입력 2011-05-05 00:00
업데이트 2011-05-05 16: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말 전북독립영화제에 들렀다가 ‘어이그, 저 귓것’이란 영화를 보았다. 제목부터 신기했다. 궁금해 물어보니 제주도 사투리로 ‘어휴 저 바보 같은 녀석’을 뜻한다고 했다.

사투리가 너무 심해 한글 자막이 없으면 알아듣기가 힘든 영화지만, 향토적 특징들은 ‘어이그, 저 귀것’의 재미를 오히려 배가시킨다. 노는 아저씨 세 명이 좌충우돌하면서 보내는 이야기가 너무 웃겨서 연신 배를 움켜쥐게 된다.
이미지 확대
영화 ‘뽕똘’의 한 장면
영화 ‘뽕똘’의 한 장면


 그런데 그냥 재미있기만 했다면 오멸(감독)이란 이름을 기억하지 못했을 게다. ‘어이그, 저 귓것’은 소소한 웃음 곁으로 가슴 뭉클한 순간을 터뜨릴 줄 아는 영화다. 제주도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작가의 작품인 만큼 ‘지역영화’로서의 가치도 적지 않다. 게다가 믿을 수 없는 사실 몇 가지를 전해 들었다. ‘어이그, 저 귓것’의 제작비는 고작 800만원. 오멸이 몇 달 만에 500만원으로 두 번째 장편 ‘뽕똘’(사진)을 내놓았다는 거다(오멸은 현재 세 번째 장편 ‘이어도’를 끝낸 상태다).  6일 폐막하는 전주영화제에서 ‘뽕똘’을 보았다. 뽕똘은 제주 모슬포에 사는 백수건달이다. 그는 ‘똥파리’에 감명을 받아 감독과 배우로 거듭나기로 한다. 제작비는커녕 카메라나 각본도 없으면서 영화를 찍겠다는 그를 보면 기가 찬다. 그는 폐허가 된 건물의 모퉁이에 임시 사무실을 차려 배우 오디션을 연다.

 오디션이라고 해 봐야 참가자는 감독 본인을 포함해 달랑 세 명에 불과하다. 말할 필요도 없이 셋 다 오디션에 합격하고, 휴식 차 서울에서 내려온 남자와 지능이 의심스러운 동네 처녀와 뽕똘은 영화 제작을 개시한다. ‘뽕똘’은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뽕똘’은 ‘어이그, 저 귓것’과 느슨하게 연결된 영화다. 중심 인물이 다시 등장하고(당연히 같은 배우가 연기한다), 전편에서 음악에 매달렸던 인물이 갑자기 영화 쪽으로 관심을 돌리며, 산간 마을의 이야기와 바닷가 동네의 이야기가 대구를 형성한다. 오멸은 주변의 평범한 것에서 낯설고 흥미로운 것을 발견하도록 하는 귀한 재주를 지녔다. 제주도의 아름다운 풍광은 물론 평소 스치고 지나가는 것들을 통해 아기자기한 볼거리와 생기발랄한 이야기를 보여 주고 들려준다.

 만약 ‘한량영화’라는 게 있다면 그 장르에서 오멸은 한국을 대표하는 감독이다. 나는 오멸의 영화에서 프랑스의 알랭 기로디와 뤼크 뮐레, 일본의 나카에 유지가 만든 영화의 여유, 행복, 에너지, 웃음의 전복성을 함께 느낀다. 생산과 효율을 미덕으로 삼는 시대에 오멸의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존재들이다. 그러나 전혀 풍요롭지 않은 인물들이 뿜어내는 풍요의 기운이 실로 대단해서 탁 트인 정서를 제공한다. 낙원이라고 두둔하진 않겠지만, 도시의 삶이 잃어버린 가치를 일정 부분 회복하고 있는 건 분명하다.

 전편에서 비 맞으며 돌아오는 인물의 뒷모습이 시적 감흥을 불러일으킨다면, ‘뽕똘’에선 삼방산 전설을 아날로그 판타지로 꾸민 장면이 초현실적 분위기를 자아낸다. 오멸 영화의 내용보다 형식에 더욱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거기에 있다. 영화의 엄숙주의와 중압감에서 벗어난 자유분방한 태도,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허무는 드라마, 궁핍함이 꽃피운 아름다움, 신선한 슬랩스틱 연기 등은 피곤에 찌든 기성 영화를 해방시킨다. 개봉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영화평론가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