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산양의 힘겨운 겨울나기

설악산 산양의 힘겨운 겨울나기

입력 2011-03-15 00:00
업데이트 2011-03-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S1 16일 밤 ‘환경스페셜’

산양은 시베리아와 중국, 한반도에만 분포하는 1종 1속 개체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700여 마리가 사는 것으로 추정된다. 서식지 환경의 악화로 멸종 위기에 놓인 산양은 우리나라에서 천연기념물(217호)과 멸종위기 1급 동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숲에 사는 야생동물에게 겨울은 혹독한 계절이다. 특히 풀잎이나 나뭇잎, 열매 등을 먹고사는 초식 동물에게는 더욱 견디기 어려운 시간이다. 독초만 빼고 모든 풀을 좋아하는 산양도 예외는 아니다.

이미지 확대
설악산 산양을 중심으로 한 겨울 숲 속 산양의 생태 보고서와 그들을 왜 보호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환경스페셜’의 한 장면. KBS 제공
설악산 산양을 중심으로 한 겨울 숲 속 산양의 생태 보고서와 그들을 왜 보호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환경스페셜’의 한 장면.
KBS 제공


KBS 1TV ‘환경스페셜’은 16일 밤 10시 ‘겨울 설악 그곳엔 산양이 산다.’를 방송한다. 프로그램은 눈 덮인 설악산에 사는 산양의 생태에 대해 조명하고, 그들을 왜 보호해야 하는지 이야기한다. 앙상한 나뭇가지와 메마른 숲, 먹이가 고갈된 겨울 산을 헤매던 산양은 생존을 위해 산 아래로 내려온다. 하지만 2009년부터 잦아진 겨울 폭설은 먹이를 찾아 떠난 산속의 산양들을 고립시켰다.

설악산과 월악산, 비무장지대(DMZ), 그리고 울진 지역은 남한 산양의 주요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그중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설악산과 월악산은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멸종위기종복원센터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종복원센터의 산양 팀원들은 설악산 일대에서 산양 순찰을 하고, 눈 속에 파묻힌 산양을 구조한다. 그들의 극진한 보호 아래 회복된 산양들은 날씨가 풀리면 자연으로 다시 돌아간다. 하지만 울진 지역은 산양에 대한 제도적 구난 체계가 없다. 사실상 방치 상태나 다름없다. 2010년 한해 동안 울진 지역 산양 23마리가 집단으로 목숨을 잃었다. 올해 1월에도 산양 한 마리가 죽은 채 발견됐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1-03-15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