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계의 ‘마더 테레사’ 어떤 정의를 이야기할까

경제학계의 ‘마더 테레사’ 어떤 정의를 이야기할까

입력 2010-09-29 00:00
업데이트 2010-09-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하버드대 아마르티아 센 방한

이미지 확대
아마르티아 센 교수
아마르티아 센 교수
경제학계의 ‘마더 테레사’로 불리는 아마르티아 센(77) 미국 하버드대 교수가 한국에 온다.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김정배)이 주최하는 ‘2010 문명과 평화 국제포럼’ 기조강연자로 초청됐다. 센 교수는 29~30일 열리는 포럼에서 ‘세계문명과 국가의 경계’를 주제로 강연한다. 또 10월1일 세계석학 강좌에서는 ‘전지구적 세계와 정의’를 주제로 강연한다.

센은 1998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인도 출신 경제학자. 그의 출발점은 후생경제학이었다. 빈곤과 기아에 시달린 조국 인도의 현실이 작용했다. 센이 중요시 여기는 개념은 ‘역량’(Capability). 개개인의 역량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사회가 도와줘야 하고 경제학도 이를 위한 도구라고 본다. 개개인의 역량 발휘를 막는 제1의 적은 당연히 빈곤과 기아다.

그런데 요즘 빈곤과 기아는 생산력 부족보다 대개 정치적 탄압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센에게는 경제적 풍요 못지않게 정치적 자유가 중요하다. 남북전쟁 이전에 미국 남부 흑인 노예가 잘 먹고 잘 살았다는 추정통계치를 내놓은 미국 경제사학자 윌리엄 포겔의 주장에 대해 “설사 그렇다 해도 노예의 삶을 긍정할 수 있느냐.”고 반박한 것이 한 예다.

이렇게 민주주의와 경제성장의 상호 연관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박정희 덕분에 이만큼 먹고 살게 됐다.’, ‘그 시절 성장 좀 하려면 독재도 하고 고문도 할 수 있는 거 아니냐.’는 한국적 통념과 입맛에 들어맞는 학자는 아니다. 한국은 민주주의가 부족한 채 성장했기에 성장기에는 티가 나지 않더라도 정체기나 쇠퇴기에는 저소득층이 극한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 사회, 다시 말해 저소득층의 역량 발휘 기회가 크게 훼손되는 사회라고 보는 쪽에 서 있기 때문이다.

센은 기조강연과 석학강좌를 통해 문명 간 갈등과 폭력을 불러오는 정체성론을 비판하고, 다양한 기회를 열어줄 수 있는 열린 세상에 대한 희망을 나타낸다.

학술대회는 전체 5개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헨리 로즈몬트 미국 브라운대학 교수가 유교를 재조명하는 부분. 근대 자유주의가 이제는 사회정의를 침해하고 현 체제를 옹호하는 이데올로기로 변질됐다고 진단한 뒤 ‘관계의 윤리’를 내세운 유교를 되돌아본다. 마지막 세션 주제는 ‘경제위기와 동아시아의 새로운 경제 질서’로 정했다. 11월에 있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을 겨냥한 것으로, 다자 간 경제질서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9-29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