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본색’ 밖에서 보니]누아르 기대하셨나요?… 액션보다 드라마!

[‘영웅본색’ 밖에서 보니]누아르 기대하셨나요?… 액션보다 드라마!

입력 2010-09-17 00:00
업데이트 2010-09-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렇다면 ‘영웅본색’의 밖에서, ‘무적자’ 그 자체로 설을 풀어보자. 무적자의 카피는 ‘감동액션블록버스터’다. 왜 ‘감동’이란 말이 가장 앞에 붙어 있는 걸까. 맞다. 무적자의 장르는 액션보다 드라마에 가장 가깝다. 인물들의 관계와 갈등, 그리고 여기서 나오는 감정선의 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물론 그 감정선은 감동을 의도하고 있다. 송해성 감독 스스로도 이렇게 말한다. “무적자의 액션은 드라마를 부각시키는 도구로 봐야 한다.”고.

무적자의 감정선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 것으로 보인다. 영화는 동생과 어머니를 버리고 북한을 탈출했다는 죄의식에 사로잡혀 있는 김혁과 형에 대한 애증으로 얽혀 있는 동생 김철의 사연을 푸는 데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절제했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과장 없이, 그럭저럭 지루하지 않게 드라마를 펼쳐낸다. 여기에 김혁을 중심으로 그와 함께 조직원으로 일했던 이영춘과의 동지애, 부자 관계를 떠올리는 듯한 박경위와의 관계도 꽤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다양한 3개의 감정선을 나열하는 과정이 복잡하다거나 생뚱맞지도 않다. 영화에서는 여배우가 거의 출연하지 않는데, 마치 남녀간의 로맨스 영화를 비웃기라도 하는 듯 이해 타산이 얽히지 않은 남자들의 진정한 사랑을 구구절절이 보여주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또 그렇기 때문에 장르 영화로서는 거의 의미가 없다고 할 수 있겠다. 쉽게 말해, ‘누아르’를 기대한 관객이라면 ‘아니올시다’다. 초반 이들의 직업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뭔가 스타일리시한 모습을 보이며 여러번 폼을 잡기도 하지만, 정작 본론에서는 드라마가 중심축이 되다 보니 스타일은 도로묵이 돼 버렸다. 영화의 마지막 총격전도 미적인 요소가 전혀 없다. 그냥 투박할 뿐이다. 사족이지만 시나리오 내용 자체가 뜨악하기도 했다. 남자간의 ‘의리 담론’에 지쳐버렸던 한국 영화는 이미 2000년대 배신과 복수로 그 방향을 선회했다. ‘달콤한 인생’(2005), ‘비열한 거리’(2006)는 결국 ‘의리는 없다’는 새로운 교훈(?)을 주지 않았던가. 이제와 다시 꺼내든 의리 카드라. 물론 이게 향수가 될지, 아니면 촌스러움이 될지 그 평가는 관객의 몫이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9-17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