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 원전연주 어떤 느낌일까

바흐 원전연주 어떤 느낌일까

입력 2010-05-17 00:00
업데이트 2010-05-17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워너뮤직코리아 50장 분량의 ‘바흐 50’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했다. 음악이라고 다를까. 같은 종류의 곡도 그 시대의 음악적 풍토에 따라 연주 스타일은 확연히 달랐다.

이미지 확대


바흐가 활동한 1700년대에는 진중하고 엄격한 바로크 음악의 시대였고 1900년대는 섬세함과 아름다움을 중시한 낭만주의 시대였다. 악기도 차이가 있었다. 바흐 시대의 바이올린은 가축의 창자껍질을 현으로 사용한 반면, 지금은 울림이 강한 금속줄을 사용한다. 여기서 딜레마. 지금의 해석 혹은 잣대로 바흐의 음악을 연주해도 괜찮은 걸까. 가령, 바흐를 엄숙하기보다 로맨틱하게 연주해도 되는 걸까.

물론 정답은 없다. 분명한 것은 아직까지 이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과, 이 논란 속에서 당대의 연주 스타일을 그대로 고수해야 한다는 ‘원전(period) 연주’의 비중이 계속 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원전 연주 중심에는 독일 출신의 지휘자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81)가 있다. 아르농쿠르는 대표적인 원전 연주자로 꼽힌다. “어떤 시대의 음악이든 그 시대의 악기를 통해서만 최상의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지론에서 알 수 있듯, 그의 음악은 역사에 충실했다.

아르농쿠르의 바흐 원전 연주를 무더기로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워너뮤직코리아가 최근 발매한 50장 분량의 박스세트 ‘바흐 50’이다. ‘바흐 50’은 바흐 원전 연주에 권위를 자랑하는 두 레이블인 텔덱(Teldec)과 에라토(Erato)의 음반들로 구성, 높은 완성도를 자랑한다. 아르농쿠르 외에도 대표적인 원전 연주자인 오르가니스트 톤 쿠프만,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등 10여명도 함께했다.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은 물론 관현악 모음곡, 푸가의 기법, 파르티타, 칸타타, 수난곡 등 바흐의 대표 작품이 망라돼 있다. 가격도 저렴하다. 10만원으로 장당 2000원 꼴이다.

음반 속에 나타난 아르농쿠르의 원전 연주는 단순히 ‘박물관’ 수준의 시대적 재현을 뛰어넘는다. 그는 단순한 복원가가 아니다. 바흐 시대 음악의 특성상 소리의 재질감이 다소 거칠지만 음악을 또 푸근히 감싸 안는 묘한 분위기가 신비롭다. 균형이 잘 잡혀 있어 흔들림도 없다. 아르농쿠르가 정격 연주의 연구가가 아닌 마에스트로(거장)로 추앙 받는 이유를 여실히 느낄 수 있는 음반들이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5-17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