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문학의 통섭이 낳은 신소설”

“과학·문학의 통섭이 낳은 신소설”

입력 2010-05-11 00:00
업데이트 2010-05-1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재승 교수·김탁환 작가 공동작품 펴내, ‘눈먼 시계공’서 2049년 서울풍경 그려

세계가 주목하는 뇌 과학자 정재승(오른쪽·38) 카이스트 교수와 소설의 영역을 한껏 확장시켜 가는 소설가 김탁환(왼쪽·42)이 만났다. 둘의 과학적 상상력과 문학적 상상력이 융합하고 통섭하듯 몸을 섞어 만들어낸 것은 바로 장편소설, 그것도 ‘2049년, 대한민국 서울’이라는 미래의 공간이다. 인간 본성의 비의(秘意)를 탐구하겠다는 공통의 의도가 있어 가능한 작업이었다.

이미지 확대


그들의 작품은 무한한 소설적 상상의 나래를 펼치면서도 엄격한 과학적 사실에 기초했다. 이 덕분에 소설은 미래를 그리면서도 공상과학소설(SF·Science Fiction)에 머물지 않고 ‘미래 리얼리즘 문학’ 혹은 ‘리얼리즘적 SF’의 새 전형을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장편소설 ‘눈먼 시계공’(민음사 펴냄·전 2권)이다. 소설에서 나타난 2049년의 유비쿼터스 도시 서울은 사람들이 로봇 격투기대회에 열광하고, 로봇 사창가에서 욕망을 채우는 공간이다. 또한 사이보그들의 범죄가 횡행하고 수사관들은 죽은 자의 뇌에서 죽기 직전의 기억을 끄집어내는 세상이다. 세상을 ‘신의 창조가 아닌 자연 선택’이라고 주장한 리처드 도킨스의 책 제목을 그대로 따왔다.

두 사람이 10일 서울 태평로 외신기자클럽에서 기자들을 만났다. 이들은 서로의 작업에 대해 “우정과 융합, 미래를 향한 글쓰기”라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그동안 이질적 분야의 종사자들이 공동 저술 작업을 진행한 적은 종종 있었다. 하지만 장(章)을 나눠서 쓰는 등 같은 주제를 두고 각각의 글을 기계적으로 결합시킨 정도였다. 반면 이들의 집필 과정은 문단은 물론, 문장, 단어 하나하나까지 서로 점검하며 소설을 풀어나갔다는 사실이 특기할만 하다.

정재승은 “과학적 지식에 매몰되지 않고 과학이 상상하는 세계를 어떻게 나눌 것인가는 오랜 화두였다.”면서 “뇌과학과 로봇공학을 기반으로 소설과 과학의 상상력이 행복하게 결합하는 꿈을 이뤄 기쁘다.”고 말했다.

김탁환은 “카이스트에서 교수를 하며 직접 겪어 보니, 과거 속에서 현재를 찾으려는 소설가들과 달리 과학자들은 일상적으로 미래를 다루고 있었다.”면서 “판타지로 보이지 않도록 리얼리티를 부여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5-11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