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플스테이 다양화] 관광상품 성공 vs 돈벌이로 변질

[템플스테이 다양화] 관광상품 성공 vs 돈벌이로 변질

입력 2010-03-09 00:00
업데이트 2010-03-09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절에서 먹고 자며 수도승들의 일상을 체험하는 ‘템플 스테이’(Temple Stay)가 큰 인기다. 종교계의 20세기 최고 발명품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산(山)에 막혀 있던 불교와 일반인들 사이의 벽을 허물고, 연간 2만명이나 되는 외국인 관광객을 끌어들이며 ‘코리아 브랜드’ 관광상품으로 자리잡았다는 긍정적 평가다. 그러나 인기가 갑자기 치솟으면서 지나치게 세속화되고 돈벌이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이미지 확대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는 템플 스테이 프로그램들. 왼쪽부터 금산사, 부석사, 안국사 템플 스테이 참가자들의 모습.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는 템플 스테이 프로그램들. 왼쪽부터 금산사, 부석사, 안국사 템플 스테이 참가자들의 모습.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8일 조계종 불교문화사업단에 따르면 지난해 템플 스테이를 실시한 사찰은 총 100개다. 여기에 참가한 일반인은 총 14만 893명. 이 가운데 13.7%(1만 9399명)가 해외 관광객이었다.

●年 2만명 외국 관광객 발길

이미지 확대
이런 인기를 반영하듯 조계종은 최근 서울 신정동에 ‘국제 템플 스테이 센터’를 세웠다. 지난달 발표한 ‘종단 발전 4개년 계획’에도 ‘템플 스테이 국제화’를 주요 과제로 포함시켰다.

종단 차원의 전폭적 관심과 지원 등에 힘입어 템플 스테이는 단순한 사찰 체험을 넘어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는 양상이다.

전남 해남 미황사 등 해안가 사찰들이 실시하는 해맞이·해넘이 템플 스테이가 대표적인 예다. 사찰 주변의 문화유산과 자연생태 환경을 사찰 체험과 연계시킨 것이 적중했다. 이들 프로그램은 입소문이 나면서 아예 브랜드 상품으로 입지를 굳혔다.

기본 메뉴(사찰 체험)에 추가 메뉴를 넣어 차별화를 시도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영어캠프 템플 스테이(부산 범어사·전북 김제 금산사 등), 태권도 템플 스테이(전북 무주 안국사), 스키캠프 템플 스테이(강원 평창 월정사) 등이 그런 예다.

이런 프로그램 중에는 외부강사를 별도로 두는 경우도 있다. 사찰 스님만으로는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없어서다. 오는 12일부터 나흘간 가족 심리치료 템플 스테이를 여는 월정사는 108배와 요가명상 등 최소한의 프로그램만 스님이 진행한다. 대부분의 행사 진행은 예술치료사 등 외부 인력이 책임진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본말이 전도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찰 체험과는 무관한 수련행사를 진행하면서 장소만 사찰을 빌리는, 즉 ‘무늬만 템플 스테이’가 늘고 있다는 냉소다.

●영어·태권도·스키 접목… 외부강사까지 영입

전통적인 템플 스테이를 진행하는 한 주지스님은 “프로그램 다양화가 중요한 숙제이기는 하지만 외부강사들로 (프로그램을)채울 거라면 굳이 사찰에서 할 필요가 있느냐.”며 못마땅해했다. 이어 “스님과 일반인이 함께함으로써 절과 세상이 소통하는 창구를 마련하는 것, 그것이 진정한 템플 스테이”라며 “지나치게 동적인 프로그램은 고요하고 정적인 사찰의 맛과 템플 스테이의 본질을 해칠 위험이 있다.”고 경계했다.

해당 사찰들은 “프로그램의 경쟁력 강화와 차별화를 위해 필요한 변화”라고 반박한다. 월정사 관계자는 “각 종교단체에서 주관하는 행사들이 넘쳐나는 현실 속에서 템플 스테이가 좀 더 경쟁력을 지니려면 대중성과 다양성을 보강해야 한다.”며 “정형화된 틀에 안주해서는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고 역설했다.

●무늬만 템플스테이 vs 대중과 소통… 변화 불가피

종단이 좀 더 적극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문도 있다. 현재 템플 스테이는 조계종 불교문화사업단이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만 제공할 뿐, 모든 기획과 운영은 개별 사찰과 소속 스님들의 재량에 달려 있는 실정이다.

이민우 불교문화사업단 기획홍보팀장은 “(지적을 받아들여) 올해부터 컨설팅 팀을 꾸려 템플 스테이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컨설팅을 실시할 계획”이라면서 “본래 정신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대중과 사회의 요구를 심화, 특화시킨 브랜드 프로그램을 만들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3-09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