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베리아 비상사태 해제 “에볼라 확산 추세 이제 꺾였나?”

라이베리아 비상사태 해제 “에볼라 확산 추세 이제 꺾였나?”

입력 2014-11-14 00:00
업데이트 2017-09-18 17: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라이베리아 비상사태 해제 “에볼라 확산 추세 이제 꺾였나?”

에볼라 최대 피해국인 서아프리카 라이베리아가 에볼라로 인한 국가비상사태를 전격 해제해 에볼라 통제에 희망을 던져주고 있다.

그러나 인근 시에라리온과 말리에서는 에볼라가 확산하고 있는데다 진정세를 보이다 다시 확산한 사례도 없지 않아 라이베리아의 진정세를 전체적인 진정국면으로 보기에는 이르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엘렌 존슨 설리프 라이베리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국영 ELBC 라디오 방송을 통해 “비상사태 기간을 연장하지 않겠다는 뜻을 국회 지도부에 전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라이베리아는 지난 8월 6일 에볼라의 확산이 정부의 통제 수준을 넘어섰다면서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바 있다.

설리프 대통령은 “우리는 싸웠고, 세계와 우리 국민에게 호소했다. 국민이 들어주었고 세계는 화답했다”며 에볼라 대책에 협력한 국민과 세계 각국에 감사를 표했다.

설리프 대통령은 라이베리아가 국경 폐쇄, 통행금지 및 강제 격리, 학교 폐쇄, 대중집회 제한 등 강력한 규제를 부과했다며 단호한 조치가 효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그러나 설리프 대통령은 “전체적으로는 희망적이지만 여전히 농촌에서 위험지역이 속출하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다”고 경계심을 늦추지 말 것을 당부했다.

라이베리아 정부는 세계 전문가들이 에볼라 감염 둔화세를 잠정 발표한 것을 확인하면서 이번 주 신규 감염사례가 매일 최고 500건 이상에서 50여건 정도로 크게 감소했다고 밝혔다.

미군도 에볼라 대응 임무를 위한 계획을 하향 조정, 당초 수도 몬로비아에 배치하기로 했던 병력 4000명을 3000명으로 줄일 예정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라이베리아와 시에라리온, 기니,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가 4개국에서 지난 3월 에볼라 바이러스가 확산한 이래 1만 4098명이 감염됐고, 5160명이 사망했다.

국가별로는 라이베리아가 감염자 6822명, 사망자 2836명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네티즌들은 “라이베리아 비상사태 해제, 이제 정말 꺾였나”, “라이베리아 비상사태 해제, 앞으로 상태가 정말 좋아지는 건가”, “라이베리아 비상사태 해제, 앞으로 더 큰 문제 생기지 않기를 빈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