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 풀자 독일도 재확산 조짐, 메르켈이 히틀러 꿈 이뤘다고?

제한 풀자 독일도 재확산 조짐, 메르켈이 히틀러 꿈 이뤘다고?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5-11 05:22
업데이트 2020-05-11 05: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일 베를린 경찰이 지난 9일(현지시간) 알렉산데르플라츠에 모인 시위대가 규정을 위반하자 후추 스프레이를 뿌려 진압하려 하고 있다. 베를린 dpa AP 연합뉴스
독일 베를린 경찰이 지난 9일(현지시간) 알렉산데르플라츠에 모인 시위대가 규정을 위반하자 후추 스프레이를 뿌려 진압하려 하고 있다.
베를린 dpa AP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 상황을 상당히 통제했다고 자신한 독일이 공공생활 제한 조치를 완화한 지 며칠 만에 다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질병관리본부 격인 독일 로베르트 코흐 연구소(RKI)는 10일(현지시간) 정부의 공공생활 제한 조치 완화 이후 코로나19 재생산지수가 1.1로 올라갔다고 발표했다. 오전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667명, 신규 사망자 수는 26명이었다. 재생산지수는 감염자 한 명이 타인에게 얼마나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는지 나타내는데 지난 6일만 해도 재생산지수는 0.65까지 줄어들었다.

재생산지수가 다시 올라간 것은 최근 요양원과 도축장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한 점 등이 작용했다. RKI는 재확산했다고 아직 단정할 수 없는 단계지만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의 11일 오전 5시 20분(한국시간) 집계에 따르면 독일의 코로나19 감염자는 17만 1767명, 사망자는 7557명이다. 감염자 수는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많지만, 사망자 수는 벨기에(8656명)에 세계 여덟 번째다.

독일은 지난달 20일부터 일정 규모 이하의 상점 영업을 정상화하도록 하는 등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제한 조치를 단계적으로 완화하고 있다. 지난 6일에는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 16개 연방주 총리들이 회의를 열고 단계적으로 수업을 재개하고 모든 상점의 영업을 재개하는 등 추가 완화를 하기로 했다. 2인 초과 접촉 제한 조치도 두 가구가 만날 수 있도록 했다.

아직 독일 시민의 다수는 정부의 조치를 지지하고 있다. 슈피겔과 포쿠스온라인의 이달 초 공동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53%가 정부 조치에 신뢰를 보냈다.

그러나 수도 베를린 등 주요 도시에서는 지난 9일(현지시간) 공공생활 제한 조치에 반대하는 집회가 열렸다. 뮌헨과 슈투트가르트에서는 각각 수천 명이 모였다. 시위대는 정치인들과 의료계가 공포를 확산시키고 장기간의 제한 조치로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극우 세력이 시위에 적극 나섰고,일부 집회에는 백신 투약에 반대하는 활동가들이 가세했다.

뮌헨에서 경찰은 확성기로 감염을 막기 위해 사람 간 거리를 유지해달라고 주문했지만 시위대는 이를 무시했다. 슈투트가르트 시위대는 대체로 거리를 유지했다. 도르트문트에서는 극우주의자가 포함된 150명 정도가 시위를 벌였는데,이들 중 일부가 보도진을 공격해 1명이 체포됐다. 베를린 알렉산데르플라츠 등에서 경찰은 시위대가 시위 규정을 위반하자 후추 스프레이를 사용하기도 했다.

한편 메르켈 총리를 아돌프 히틀러에 비유한 마이클 자밋 타보나 핀란드 주재 몰타 대사가 사임했다고 현지 언론들이 전했다. 타보나 전 대사는 페이스북에 “75년 전에 우리가 히틀러를 제지했듯이 누가 앙겔라 메르켈을 멈출 것인가? 그녀는 유럽을 장악하려는 히틀러의 꿈을 이뤄냈다”고 적었다가 삭제했다. 에바리스트 바르톨로 몰타 외교부 장관은 독일 정부가 사과를 받아들였다고 밝혔다고 타임스 오브 몰타가 보도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