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선] “네버 트럼프는 과장”…‘앵그리 맘’ 백인여성은 ‘샤이 트럼프’였다

[미 대선] “네버 트럼프는 과장”…‘앵그리 맘’ 백인여성은 ‘샤이 트럼프’였다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0-11-04 16:46
업데이트 2020-11-04 16: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바이든 지지층이라던 ‘백인 교외 여성’
WP 출구조사 결과 55% “트럼프 찍었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3일(현지시간)  미시산주 셸비 타운십에서 개표 현황을 보며 환호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3일(현지시간) 미시산주 셸비 타운십에서 개표 현황을 보며 환호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네버 트럼프’(Never Trump·트럼프는 절대 찍지 않는다)가 과대평가된 2020년 대선.

3일(현지시간) 뚜껑이 열린 미 대선에서 주요 언론들의 출구조사 결과 조 바이든을 견고하게 지지할 것으로 예측됐던 ‘백인 교외 여성’들이 실제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표를 몰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개표 초반 ‘레드 미라지’(공화당 승리 착시현상)는 이미 예견됐었지만,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여유 있는 우세가 점쳐졌던 펜실베이니아·미시간·위스콘신 등 러스트벨트, 플로리다 등 남부 선벨트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선전한 것도 ‘트럼프를 절대로 찍지 않겠다’는 바이든 지지 표심이 실제보다 확대해석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서 2016년 대선에서 민주당이 ‘샤이 트럼프’ 표심을 과소평가해 충격의 패배를 당한 것과 같은 현상이 올해 대선에서도 되풀이된 셈이다.

대선 이전 여론조사와 너무 다른 결과
특히 올해 대선에선 9월 이전에 일찍이 마음을 굳힌 유권자들이 4명 중 3명을 차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초래한 양극화가 양당 유권자 표심을 일찍감치 굳힌 반면 막판 부동표는 역대 어느 대선 때보다 최소화됐다는 뜻이다.

워싱턴포스트·뉴욕타임스·AP 등의 출구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코로나19 대응, 인종차별 시위 등 트럼프 정책에 화난 ‘앵그리 맘’으로 대변된 백인 교외 여성들이 실제로는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한 것으로 나타나 앞서 여론조사들 예측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반면 콘트리트 지지층이었던 백인 저학력층은 변함없이 트럼프를 찍었다.

워싱턴포스트 출구조사 결과 백인 여성의 55%가 ‘트럼프를 찍었다’고 답해 44%에 불과한 바이든 후보를 11% 포인트 압도했다. 흑인 여성의 91%, 흑인 남성의 80%가 바이든을 찍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 계층에서 각각 18%, 8%밖에 얻지 못했다. 히스패닉 여성의 69%가 바이든을 찍은 것과도 대비된다. 반면 백인 남성의 57%는 트럼프를, 40%는 바이든을 찍었다.

저학력층 백인 계층에서 트럼프 지지율이 높은 ‘샤이 트럼프’ 현상도 여전했다. ‘대졸 학력 이하 백인’의 63%가 트럼프를 찍은 반면 바이든을 찍은 비율은 35%에 불과했다. 반대로 ‘저학력 비백인층’의 72%가 바이든을, 26%가 트럼프를 지지했다고 답했다.

유권자 4명 중 3명 “9월 이전에 결정”
한편 유권자 4명 중 3명은 ‘9월 이전에 후보를 결정했다’고 답했다. 특히 91%는 선거일 마지막주 이전에 일찌감치 마음을 굳힌 반면 ‘마지막주에 정했다’고 답한 비율은 5%에 불과했다. 역대 어느 대선보다 선거 캠페인과 유권자들이 양극화된 선거였음을 방증하는 셈이다. 앞서 1억명에 이른 사전투표 수 역시 미국 유권자들이 조기에 표심을 결정했음을 의미했다. 막판에 마음을 정한 유권자 중 55%는 트럼프를, 39%는 바이든을 찍었다고 응답해 트럼프의 막판 벼락치기 유세가 상당 부분 먹힌 것으로 해석된다.

CNN 출구조사 역시 ‘선거일 1주일 이전에 마음을 정했다’는 응답자가 93%에 이르렀고, ‘지난 1주일 사이 정했다’는 답변은 4%에 불과했다.

라틴계의 표심 변화도 주목된다. CNN에 따르면 히스패닉 유권자들은 지난 대선 때보다 더 트럼프를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대선 당시엔 히스패닉계 지지가 35%에 불과했지만, 이번엔 40% 선까지 올랐다. 반면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 힐러리 클린턴 후보가 히스패닉계로부터 62%의 지지를 얻었지만, 이번에 바이든 후보는 50%를 간신히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부 선벨트에서 바이든 후보가 고전한 것도 히스패닉계의 절대적 지지를 확보하지 못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