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코닥 ‘제약사’ 변신… 8억弗 받아 약품 생산

美 코닥 ‘제약사’ 변신… 8억弗 받아 약품 생산

김규환 기자
입력 2020-07-29 20:44
업데이트 2020-07-30 06: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의약품 자족 위해 핵심 원료 제조
트럼프 “의약업계 리쇼어링 돌파구”
‘국방물자’ 대출에 주가 300% 급등

코닥 로고가 새겨진 슬라이드 영사기. 사진=AP 연합뉴스
코닥 로고가 새겨진 슬라이드 영사기. 사진=AP 연합뉴스
130년 역사를 가진 사진 필름의 대명사 이스트먼 코닥이 제약회사로 변신한다. 스마트폰에 밀려 내리막을 걸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코닥은 28일(현지시간) 미 정부로부터 7억 6500만 달러(약 9137억원)의 대출을 받아 ‘코닥 파마수티컬즈(제약)’를 출범시켰다. 짐 콘티넨자 코닥 회장은 성명에서 “우리가 시민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 필요한 핵심 의약 성분을 생산해 미국 의약품 자급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코닥은 의약품 원료(API)를 생산할 뿐 아니라 가격 경쟁력이 있고 환경적으로도 안전한 수많은 약에 들어가는 구성요소를 만들게 될 것”이라며 “의약품 제조업을 미국으로 다시 되찾아 오는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닥은 향후 제너릭 의약품(특허만료 약물의 복제약)에 필요한 원료를 생산할 계획이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국장은 코닥 본사가 있는 뉴욕주 로체스터로 가서 6.47㎢(약 196만평) 규모의 공장시설을 점검하기도 했다. 대출을 주관한 국제개발금융공사(DFC)는 그동안 개발도상국 인프라 건설을 지원했으나 지난 5월 국방물자생산법(DPA)에 의거해 코로나19 대응에 필요한 의약품 물자 생산에도 자금을 지원할 수 있게 됐다. 6·25전쟁 지원을 위해 제정된 DPA는 대통령이 기업에 특정 물자 생산을 명령하거나 지원할 수 있다. 미국에서 코로나19 사태로 의료물자가 크게 부족하자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에 인공호흡기 생산을 지시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미 정부의 이번 대출은 제약 부문에서 미국의 해외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조치라고 WSJ가 지적했다. 미국은 그동안 의약품 원료를 중국과 인도 등에서 저가로 조달해 왔지만 미·중 갈등 심화, 코로나19 확산 후 의약품 자급 필요성이 대두됐기 때문이다.

1888년 설립된 코닥은 필름 카메라의 글로벌 강자로 1975년엔 디지털 카메라를 개발하는 등 앞서 나갔으나 스마트폰을 비롯한 사진 영역의 디지털화 추세에 뒤처지면서 밀려났다. 2012년 파산보호 신청을 한 뒤 구조조정을 거쳐 2013년 파산 위기에서 벗어났다. 디지털 사진 프린트 등의 분야에서 활로를 모색해 오다 약품 제조 원료에도 눈길을 돌렸다. 콘티넨자 회장은 “향후 약품 원료 제조가 코닥 매출의 30~40%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닥의 제약 사업 소식에 코닥 주가는 이날 300% 이상 치솟았다. 뉴욕 증시에서 코닥은 전날(2.62달러)보다 203% 상승한 7.94달러를 기록한 뒤 시간외거래에서는 13달러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다. 37.20달러로 정점을 찍은 2014년 이후 주가는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타며 3월 1.55달러까지 곤두박질쳤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20-07-30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