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매사추세츠대, 이란 학생 수강 제한 ‘논란’

미국 매사추세츠대, 이란 학생 수강 제한 ‘논란’

입력 2015-02-17 07:21
업데이트 2015-02-17 07: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학 측 “이란제재법에 부합” vs 이란인 “명확한 차별”

미국 매사추세츠대학이 이란 국적 대학원생들의 공학 또는 자연과학 일부 과목 수강을 금지해 논란이 일고 있다.

대학 측은 핵무기 개발 의혹과 관련해 미국이 2012년 채택한 이란 제재법에 따른 조치라고 설명하지만, 이란인들은 차별을 금지한 미국 연방법을 위반한 것이라며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16일(현지시간) 허핑턴포스트와 AP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매사추세츠대는 지난 1일부터 이란 국적 대학원생들이 화학 공학, 전기 및 컴퓨터 공학, 기계 및 산업공학, 물리학, 화학, 미생물학, 고분자학 등을 수강하지 못하도록 결정했다.

대학 측은 이번 결정이 ‘이란 제재법’(Iran Threat Reduction and Syria Human Rights Act)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2012년 8월 미국 의회가 통과시킨 이 법은 이란인 학생이 핵무기 개발이나 향후 이란에서의 에너지 연구에 초점을 두고 미국에서 교육받으려고 한다면 이를 허락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학 측은 또 2013년 7월부터 이란인이 석유, 천연가스, 핵에너지, 핵 과학, 핵 공학 등에서 경력을 쌓으려는 목적으로 미국에서 교육받으려고 할 경우에는 국토안보부가 비자 발급을 금지했다는 사실도 언급했다.

하지만, 이란인들은 대학 측의 조치가 차별금지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전미 이란계 미국인 협회(National Iranian American Council)는 “이런 정책을 집행할 수 있는 기관은 국토안보부이지 대학이 아니다”면서 “이란 국적 학생들의 교육받을 권리를 박탈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협회는 대학과 정부, 의회 관계자들을 만나 해결책을 찾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학의 박사과정 학생인 이란 국적의 나리먼 모스타파비도 “명확하게 차별적인 정책”이라고 말했다.

이란 국적 학생들은 페이스북에 페이지를 만드는 등 공동대응을 하고 있다.

현재 이 대학에는 48명의 이란 국적 학생이 등록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