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대형소매업 ‘가격비교체계’ 구축…공룡 아마존만 ‘몽니’

美대형소매업 ‘가격비교체계’ 구축…공룡 아마존만 ‘몽니’

입력 2014-06-18 00:00
업데이트 2014-06-18 07: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마트·코스트코·CVS, 단위가격 공개…소비자 편의 도모

미국의 초대형 소매업체들이 판매 제품의 실제 소비자 가격을 온라인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개하기로 했다고 1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자신이 구입하고자 하는 제품이 어느 소매업체에서 가장 싸게 파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품 가격비교 시스템’에 동참하기로 한 업체는 월마트, CVS, 코스트코 등 미국내 소매업계의 간판 주자들이다.

월마트와 코스트코는 오는 2014년말까지 미국 어느 지역에서든지 온라인을 통해 자사 판매 제품의 단위당 가격을 비교·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 월그린, CVS, 드럭스토어닷컴, 프레시다이렉트 등은 내년 3월까지 가격 비교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다만 전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업체인 아마존은 지속적인 설득에도 이번 가격 비교 시스템에 참여하지 않기로 해 비난을 사고 있다.

초대형 소매업체들의 가격 비교·공개 방침은 에릭 슈나이더만 뉴욕주 법무장관의 주선으로 성사됐다.

이에 따라 각 업체들은 자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제품의 단위당 가격은 물론 제품별 가격을 공개한다.

특히 소비자들이 각 업체의 가격 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도 가격을 비교 평가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당초 슈나이더만 장관은 세계 최대 온라인 상거래업체인 아마존까지 포함해 명실상부한 가격비교 시스템을 구축하려 했으나 아마존의 거부로 제동이 걸렸다.

’싼 가격’을 내세워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 시장까지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려는 월마트는 이번 조치에 대해 “가격 비교 시스템에 참여하게 돼 기쁘다”면서 “소비자들의 온라인 구매가 더욱 투명하게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반면에 가격 비교 시스템 참여를 거부한 아마존은 최근 열악한 노동조건하에서의 직원 2명 사망사건까지 발생해 곤혹스러운 입장이다.

여기에 수익 배분 문제로 프랑스 아셰트 출판사의 책 판매를 중단한 데 이어 영화사 워너 브라더스의 영화 제품도 같은 이유로 판매하지 않기로 하는 등의 문제까지 겹쳐 아마존에 대한 비판 여론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