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만에 뒤집힌 ‘모더나 효과’… 백신 주가의 배신

하루 만에 뒤집힌 ‘모더나 효과’… 백신 주가의 배신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0-05-20 09:13
업데이트 2020-05-20 1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인 미국 바이오기업 모더나의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본사 앞에 18일(현지시간)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케임브리지(미국) 로이터 연합뉴스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인 미국 바이오기업 모더나의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본사 앞에 18일(현지시간)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케임브리지(미국) 로이터 연합뉴스
모더나, 유효성 판단 어려워… 주가 하루 만에 10% 급락
1차 임상시험에 성공했다는 소식으로 전 세계 주식시장을 밀어 올린 미국 바이오업체 모더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을 놓고 의학계에서 신중론이 제기됐다고 19일(현지시간) 미국 의학전문매체 스탯(STAT)이 보도했다.

미국 바이오기업 ‘모더나’가 유효성 판단에 필요한 충분한 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했다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전날 약 20% 폭등했던 모더나의 주가는 이날 10% 넘게 급락했다.

스탯은 전문가를 인용해 모더나가 전일 보도자료로 공개한 소규모 초기 안전성 시험 자료로는 백신 효과를 평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백신 임상시험 참가자 45명의 백신 투약 반응에 대한 자료와 중화항체가 형성된 8명의 나이 정보가 부족하다고 밝혔다. 고령자에게 취약한 만큼 시험 참가자의 나이 정보는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또 모더나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미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의 관련 논평이 없다는 점, 백신으로 생긴 항체가 얼마나 지속하는지 불분명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1차 임상서 전원 항체” … 참가자 나이 정보 부족
앞서 모더나는 자사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후보물질의 1단계 임상시험(총 4단계)에서 참가자 전원에게 항체가 형성됐다고 18일(현지시간) 밝혔다.

외신은 이날 모더나가 백신후보물질 ‘mRNA-1273’을 참가자 45명에게 투여한 결과 모두에게서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회복한 수준 이상의 항체가 형성됐다고 전했다. 45명은 15명씩 나뉘어 두 그룹은 백신후보물질을 각각 25㎍, 100㎍, 250㎍씩 28일 간격으로 두 번씩 투여받았다. 2주 후 25㎍ 그룹은 코로나19 회복환자 수준의 항체가, 100㎍ 그룹은 그 이상의 항체가 형성됐다. 또 45명 중 최소 8명(17.7%)에게는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중화항체가 형성됐다. 이는 바이러스에 결합해 항원의 독성을 떨어뜨리는 물질이다.

백신 개발 성과가 알려지면서 모더나의 주가는 당일 19.96% 급등해 주당 80달러(9만8천원)를 기록하기도 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