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IS 전략부재’ 비판론에 책임 떠넘기기 여전

미국 정부 ‘IS 전략부재’ 비판론에 책임 떠넘기기 여전

입력 2015-05-27 05:27
업데이트 2015-05-27 05: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의 이라크 라마디 점령 이후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이라크 정부 쪽으로 책임 떠넘기기를 계속하고 있다.

미국의 IS 격퇴 전략에 근본적 회의론이 제기되고 야당의 정치공세가 본격화되자 사태악화의 책임을 이라크 정부군의 ‘무능’으로 돌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2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이라크 정부군의 전투의지가 없다는 것은 우리가 과거에 봐왔던 문제이자 우려였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라마디 함락은 명령과 기획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데 따른 것”이라며 “이라크 군대는 미국과 동맹들의 훈련으로부터 얻은 것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라크 정부군이 싸울 의지가 없었다”는 애슈턴 카터 국방부 장관의 지난 24일 CNN 인터뷰 발언에 다시금 힘을 실어준 것이다.

이 같은 발언은 미국내 언론과 공화당 매파들이 IS 격퇴에 대한 미국의 전략 부재를 일제히 공격하는 데 따른 정치적 방어의 의미가 크지만, 실제 미 국방부 내부에서는 이라크 정부군의 전투역량이 기대만큼 증강되지 못하고 있다는 진단도 나온다.

오바마 대통령도 이날 옌스 슈톨텐베르크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과 만난 자리에서 “미국과 나토 동맹국들이 IS를 상대로 군사자산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있는지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이 같은 책임 떠넘기기에 이라크 정부로서는 내심 불쾌감을 느끼고 있지만, 당장 ‘반(反) IS 전선’ 내부의 균열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이라크 정부군이 라마디를 중심으로 한 안바르 주(州) 탈환작전을 개시하면서 미국이 적극적 지원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백악관은 이날 대(對) 전차 무기를 비롯해 최첨단 군사장비를 이라크 정부군에 공급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