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前외교장관, 매케인·케리 성형 가능성 시사”

“호주 前외교장관, 매케인·케리 성형 가능성 시사”

입력 2014-04-10 00:00
업데이트 2014-04-10 15: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화자찬 회고록에 호주 정가 시끌 <호주신문>

호주의 봅 카 전 외교장관이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존 매케인 상원의원의 외모를 언급하는 등 적나라하고 시시콜콜한 개인적 소회를 담은 회고록을 내놓아 호주 정가가 시끄럽다.

카 전 장관은 이 회고록에서 존 매케인 미국 상원의원을 만났을 때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젊어 보이고 눈에 생기가 넘쳤다”고, 케리 장관을 만났을 때도 “피부가 남다른 것을 눈치 챘다”고 말했다고 호주 일간 데일리텔레그래프가 10일 전했다.

카 전 장관의 이러한 묘사는 두 사람의 성형수술 가능성을 말하는 것이라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외교부 장관의 일기’라는 제목의 회고록에서 카 전 장관은 또 지난해 9월 케빈 러드 당시 총리를 대신해 러시아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했을 때 자신이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 사이에 앉게 됐지만 “내가 초라하게 느껴지지는 않았다”고 자찬하기도 했다.

그는 러드 전 총리에 대해선 “외국 정상들과 함께 있는 자리에서도 쉽게 감정을 분출시키는 인물로 평판이 자자하며, 노동당 내부에서도 그를 싫어하는 분위기가 팽배했다”고 험담했다.

이 회고록에 대해 줄리 비숍 호주 외교부 장관은 “이기적인 자화자찬자의 오만한 어리석음으로 점철된 내용”이라며 “현직 외국 정상들 사이에서 호주의 지위를 위태롭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비판했다.

러드 전 총리 측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데일리텔레그래프는 전했다.

카 전 장관은 회고록에서 대서양을 횡단하는 비행기의 비즈니스 클래스에 수면용 잠옷이 없어 불편했고 음식이 형편없어 먹을 수 없을 지경이었다는 등의 시시콜콜한 신변잡기를 늘어놓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