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왕의 남자’ 내치고 민심 달래기

푸틴 ‘왕의 남자’ 내치고 민심 달래기

입력 2011-12-29 00:00
업데이트 2011-12-29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시아 전역의 ‘부정 총선 규탄 시위’로 위기에 몰린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가 정국 반전을 위해 ‘오른팔’을 스스로 잘라냈다. ‘푸틴 사단’의 핵심이자 러시아식 민주주의 개념을 만든 블라디슬라프 수르코프 대통령 행정실 제1부실장(47)을 전격 교체했다. 수르코프는 푸틴에 대해 “신이 러시아에 보내준 선물”이라고 치켜세우며 충성한 인물이다. 내년 대선을 통해 크렘린(대통령궁) 복귀를 꿈꾸는 푸틴이 자신의 ‘두뇌’ 격인 측근을 내쳐서라도 민심을 달래겠다는 승부수를 던진 셈이다.

드리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수르코프 부실장을 부총리에 임명했다고 리아노보스티통신 등이 보도했다. 앞으로 그는 국내 정치 문제에서 손을 떼는 대신 경제 혁신 등의 작업을 담당하게 된다.

수르코프는 1999년부터 대통령 행정실에서 일해 온 대표적인 ‘스핀닥터’(홍보 전문가)다. 특히 푸틴이 대통령이던 2000년대 중반 강경한 대외 노선과 민간에 대한 국가 통제 강화 등을 골자로 하는 ‘주권 민주주의’ 개념을 입안해 푸틴 행정부의 핵심 통치 철학으로 활용하도록 했다. 정치 전면에 나서지는 않으면서도 막후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해 ‘어둠의 추기경’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행정부에 들어서기 전에는 1980년대 후반부터 메나테프 은행과 러시아 알파은행, 관영 방송사인 ORT TV 등의 홍보 부문을 이끌었다.

푸틴은 수르코프의 ‘강한 러시아’ 전략 덕에 인기몰이했지만 최근 중산층이 이를 “낡아빠진 정치 시스템”이라고 비판하며 등을 돌려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 때문에 푸틴은 수르코프를 희생양 삼아 자신의 정치 개혁 의지를 보여 주려 한 것으로 풀이된다.

메드베데프 대통령에게 항명했다가 내각에서 쫓겨난 알렉세이 쿠드린 전 재무장관은 “(수르코프는) 현재의 정치공학을 직접적으로 작동시키는 인물”이라면서 “푸틴과 메드베데프가 그를 퇴진시킨 것은 정치 체제를 바꾸겠다는 중요한 선언”이라고 평가했다.

수르코프는 “왜 (크렘린을) 떠나게 됐다고 보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안정(에 대한 열망)이 자신의 자녀를 삼켜 버린 격”이라고 에둘러 심경을 표했다. 그는 또 “이 멋진 신세계에서 나는 너무 혐오스러운 것 같다.”면서 “내 고용주와 동료들의 기반을 약화시키고 싶지 않다.”고 덧붙였다.

한편 푸틴 총리는 28일 언론 인터뷰에서 야당 지도자들과 대화를 하라는 시위대 요구를 “대화할 만한 사람이 없다.”며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그는 총선 결과에 대해서도 “총선 재검토는 논의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12-29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