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반군 정부군 급습… ‘제2 리비아’ 되나

시리아 반군 정부군 급습… ‘제2 리비아’ 되나

입력 2011-11-18 00:00
업데이트 2011-11-18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정부 ‘자유시리아군’ 무장투쟁 개시… 내전 격화

‘시리아는 제2의 리비아가 될 것인가.’

8개월째 계속된 시리아 반정부시위 사태가 새 국면에 접어들었다. 탈영병으로 구성된 반군이 정부군 진지를 급습하면서 사실상 내전에 빠져든 것이다. 아랍연맹이 시리아 정권을 향해 “시위대에 대한 유혈진압을 당장 멈추라.”며 최후 통첩을 보낸 가운데 영국, 프랑스 등 서방 주요국이 사태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국 흐름이 여러모로 리비아 사태를 닮아 가는 듯하다.

반정부 성향의 무장단체인 ‘자유시리아군’은 16일(현지시간) “우리 요원들이 오늘 수도 다마스쿠스 인근 하라스타의 정부군 항공정보단 기지를 공격했다.”면서 “시설 내·외부에 강력한 폭발물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현지 인권단체 관계자도 무장세력이 하라스타의 군부대와 하마의 검문소를 공격, 정부군 14명이 숨졌다고 전했다. 공격 당한 항공정보단은 반정부 시위대의 유혈진압에 깊숙이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유시리아군은 지난여름 시리아군을 이탈한 탈영병으로 구성됐다. 시위대에 발포하라는 지도부의 명령을 거부한 사람들이다. 반군을 이끄는 리아드 알아사드 대령은 “조직 내 1만여명의 초급병사가 있다.”고 주장했다. 무기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지만 ‘치고 빠지기’ 공격으로 정부군을 괴롭힌다. 반군 측은 페이스북을 통해 병사를 모집 중이라고 CNN이 전했다. 또 국제사회에 리비아 사태 때처럼 “시리아에 비행금지구역 설정과 해상봉쇄 조치를 취해 달라.”고 호소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반군의 이날 공격이 시리아 사태의 흐름을 바꿀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근동정책연구소의 앤드루 태블러는 “시리아 시위는 지금껏 평화적인 방법으로 진행됐다.”면서 “이번 공격으로 시리아 사태에 새 장이 열렸다.”고 평가했다.

국제사회도 알아사드 대통령을 강하게 몰아 붙이며 압박했다. 아랍연맹은 이날 외무장관 회담을 연 뒤 시리아 정권을 향해 “폭력사태를 3일 내 끝내라.”고 밝혔다.

셰이크 하마드 빈 자심 카타르 외무장관은 회담 뒤 “시리아 정부는 아랍연맹이 보낸 전문에 서명해야 한다.”면서 “만약 협조하지 않으면 제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에는 아랍연맹 주도하에 30~50명의 감시단이 시리아에 파견돼 알아사드 정권이 아랍연맹의 중재안을 제대로 실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또 독일과 프랑스, 영국 등 유럽국가들도 일부 아랍국과 함께 시리아의 인권 탄압을 규탄하고 유혈사태의 즉각 중단을 추진하는 유엔 결의안 채택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AP통신이 전했다. 한편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아랍권 국가가 영국 정부에 시리아의 외교적 제재를 이끌어 달라고 부탁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11-18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