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뭉치’ 베를루스코니 화제의 언행들

’사고뭉치’ 베를루스코니 화제의 언행들

입력 2011-11-09 00:00
업데이트 2011-11-09 11: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이탈리아 총리는 잇따른 성추문과 지위에 어울리지 않는 무례하고 황당한 언행으로 끊임없이 세간의 입방아에 오르내렸다.

온갖 의혹에도 권좌를 지키던 그가 8일(현지시간) 시장의 압박에 밀려 마침내 사임 계획을 밝히자 외신들은 ‘스캔들의 제왕’ ‘사고 연발’ 베를루스코니가 쏟아낸 기이한 말과 행동을 소개했다.

유럽연합의 강대국인 독일을 이끄는 ‘철의 여인’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베를루스코니에게 여러 차례 수모(?)를 당했다.

CNN 방송은 지난 2009년 독일에서 열린 정상회의 때 베를루스코니가 자신을 영접하러 나온 메르켈을 세워둔 채 장시간 휴대전화기를 붙잡고 있는 외교적 무례를 범한 사례를 전했다.

인사를 기다리던 메르켈은 나중에 도착한 고든 브라운 당시 영국총리와 인사를 나눈 뒤에도 그가 돌아서서 통화를 계속하자 머쓱해진 채 자리를 떴고 이런 모습은 그대로 카메라에 담겼다.

지난 9월에는 베를루스코니가 메르켈을 두고 저속한 표현을 섞어 가며 ‘뚱보(Fat-ass)’라고 말한 통화 내용이 보도를 통해 드러났다.

3년 전 메르켈의 이탈리아 방문 때는 회의장 조각상 뒤에 숨어 있다가 갑자기 튀어나와 “까꿍”이라고 외쳐 메르켈을 놀라게 만들었다.

’슈퍼 파워’ 미국의 첫 흑인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가리켜서는 “선탠을 제대로 했다”고 말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성추문을 둘러싼 각종 논란과 의혹은 너무 많아 다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다.

수사 과정에서 베를루스코니가 호화 저택에서 난잡한 비밀파티를 연 사실이 드러나면서 속칭 ‘붕가붕가 파티’라는 말도 덩달아 유행했다.

로이터 통신도 베를루스코니의 유머가 지나쳐 문제를 일으키기 일쑤였다며 그 가운데 ‘기억에 남은 말들’을 골라 전했다. 다음은 그 가운데 일부.

”이탈리아의 소비 수준은 내려가지 않았다. 식당도 만원인 데다 비행기 좌석 잡기도 힘들며 휴양지는 이미 예약이 다 된 상태다. 이탈리아가 심각한 위기를 느끼고 있다는 징후는 없다고 생각한다”(2011년 11월 이탈리아 경제에 대해)

”나는 정치권의 예수 그리스도다. 오래 참는 희생양이다. 모든 사람에게 인내한다. 모든 이들을 위해 나 자신을 희생했다”(2006년 2월 지지자들에게)

”나폴레옹만이 나보다 더 많은 일을 해냈다. 그래도 내가 나폴레옹보다 키는 더 크다”(2006년 2월 TV 토크쇼에서)

”(핀란드의 타르야 할로넨 대통령이 유럽연합 식품규제기관 유치 경쟁을 포기하도록) 내 플레이보이 전술을 총동원해야만 했다”(2005년 6월 자신의 매력을 동원해 할로넨 대통령을 설득했다고 주장하며)

”무솔리니는 살인한 적이 없다. 그는 사람들을 추방 형식으로 휴가를 보낸 것이다”(2004년 9월 인터뷰에서 무솔리니가 온건한 지도자였다고 발언하면서)

”법 앞에 만인이 평등하지만 어떤 사람이 국민 50%의 지지를 받았다면 그는 다른 사람보다 더 평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2003년 6월 부패혐의로 법정에 서서)

”의지가 있는 사람이라면 비공식적인 다른 일자리를 찾을 수 있다”(2002년 12월 정리해고된 노동자들에게 암시장에서 직장을 구하라는 뜻으로)

”이슬람 국가에는 인권과 종교에 대한 존중이 존재하지 않는다”(2001년 10월 서구 문명의 우월성을 강조하며)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