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이어 미국과도 ‘적’이 된 신용평가사

유럽 이어 미국과도 ‘적’이 된 신용평가사

입력 2011-08-07 00:00
업데이트 2011-08-07 15: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평사, 금융위기.유럽 재정위기 책임론 중심신용등급 강등 S&P에 대한 美 향후 대응 주목

세계적인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5일 전격적으로 미국 국가 신용등급을 사상 최초로 강등하면서 유럽에 이어 미국도 신용평가사에 대한 규제 강화 등 ‘압박적’ 조치에 나설지 주목된다.

S&P를 비롯해 무디스, 피치 등 3대 신용평가회사는 2008년 리먼 브더러스 파산으로 촉발된 전 세계적 금융위기 당시 “대형 금융회사들의 부실을 사전에 포착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아야 했다.

이로써 유럽연합(EU)에서는 파생상품 거래는 물론이고 신용평가회사의 업무 방식에 대한 규제 강화에 나섰고 이어 2010년 초 그리스를 시작으로 유로존(유로화 사용국) 재정위기가 불거지면서 신용평가회사에 대한 EU의 적대적 정서가 심화했다.

EU 정책 당국자들은 신용평가회사에 대한 규제 강화와 함께 “3대 신용평가회사가 모두 미국계다. 차제에 신뢰할 만한 유럽계 신용평가회사를 만들어야 한다”는 발언까지 공개적으로 할 정도였다.

유로존 출범 이후 처음으로 회원국에 대한 구제금융에 어렵게 합의, 그리스 재정위기를 극복는가 싶던 작년 6월에는 무디스가 그리스 국채 신용등급을 한꺼번에 4단계나 낮추자 장-클로드 융커 유로그룹(유로존 재무장관회의체) 의장과 올리 렌 EU 경제ㆍ통화정책 담당 집행위원은 직설적으로 무디스를 비난했다.

이후 아일랜드, 포르투갈이 추가로 구제금융을 받고 재정위기가 이탈리아, 스페인 등 주변부 국가에서 유로존 중심국으로 번지면서 신용평가회사는 유럽 정책 당국자들의 ‘공공의 적’이 됐다.

최근에는 이탈리아 검찰이 무디스와 S&P의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이면서 신용평가회사와 전면전을 선언한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낳기도 했다.

유럽에서 반(反) 신용평가회사 정서가 고조되는 것과 달리 미국에서는 신용평가회사에 대한 규제 강화와 같은 조처가 가시화하지 않았으나 이번 S&P의 전격적 국가 신용등급 강등으로 상황이 달라진 셈이다.

S&P가 신용등급을 강등한 직후 미 재무부가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2조 달러의 계산 착오가 있었다. 잘못된 판단이었다”고 반박하면서 S&P의 신뢰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또 6일에도 존 벨로우스 재무부 경제 정책 차관보 대행이 S&P는 평가 과정에서 2조 달러의 착오가 있었다고 실수를 인정했으나 신용등급 강등의 이유를 바꿨다고 지적하면서 “이는 S&P 신용등급 평가의 신뢰성과 진정성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뉴스통신 로이터는 익명의 미 재무부 당국자들을 인용, 유수의 채권 딜러들이 이미 신용평가회사들의 신뢰도에 의문을 제기해 왔다고 전해 미 정책 당국자들 사이에서도 반 신용평가회사 정서가 고조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미 정부가 신용평가회사에 대해 규제 강화 등 ‘칼’을 빼어들 지 향후 대응이 주목되는데 시장 전문가들은 아직 미 국가 신용등급을 건드리지 않고 있는 무디스와 피치가 어떤 행보를 보이느냐가 정책 당국자들의 대응 수위에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