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이 밝힌 타이완 유해식품 흑막

모성이 밝힌 타이완 유해식품 흑막

입력 2011-06-07 00:00
업데이트 2011-06-07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女검사원 유산균음료서 금지 화학물 발견… 30년간 첨가 밝혀져

지난 3월 말 타이완의 국민건강 담당 국가기관인 위생서의 식품약물관리국 실험실. 한 여성 검사원이 특정 회사의 유산균 음료를 검사하던 중 이상한 반응을 발견했다.

당초 이 검사는 다이어트 제제나 중추신경 흥분제인 암페타민 함유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두 아이를 키우는 엄마인 이 여성 연구원은 ‘혹시?’라는 생각에 이상한 반응을 집중적으로 캐 들어갔다.

이 연구원은 수천 가지 화학 물질이 만들어 내는 반응과 이번에 발견한 이상한 반응을 일일이 비교해 가며 반응을 일으킨 물질을 찾아내는 데 매달렸다.

그러길 한 달여 그는 마침내 해당 물질이 식품첨가제로 쓰여선 안 되는 인공 화학물질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장난감 등의 플라스틱 제품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공업용 가소제로 사용되는 DEHP가 식감을 부드럽게 하는 용도로 사용된 것. DEHP는 암과 생식기 장애를 일으키는 독성 환경 호르몬으로 분류돼 있다. 더욱 그를 경악시킨 것은 검사 대상인 유산균 음료 내 DEHP의 농도가 성인 1일 평균 허용량의 600배인 600에 달했다는 점이다.

여성 연구원의 보고를 받은 타이완 위생 당국은 즉각 대대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 결과 타이완 최대의 식품첨가제 공급업체인 위선(昱伸)이 지난 30년간 원가를 낮추기 위해 첨가제 속에 팜유 대신 DEHP를 투입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타이완을 비롯한 범중화권 식품업계에 몰아치고 있는 ‘DEHP 태풍’은 이렇게 시작됐다. 남방일보 등 중국 언론들은 6일 “타이완 식품업계에 30년간 잠복해 있던 DEHP 흑막이 세심한 모정에 의해 폭로됐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현재까지 DEHP를 첨가한 것으로 드러난 업체는 279개, 관련 상품은 924종으로 늘어난 상태다.

스포츠음료, 과일주스 등 음료는 물론 과일잼 등 식품과 약품, 화장품 등에서도 DEHP가 속속 검출되고 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6-07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