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숭이도 잘못된 선택 후회하고 대안 찾아

원숭이도 잘못된 선택 후회하고 대안 찾아

입력 2011-06-03 00:00
업데이트 2011-06-03 1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사주간 타임, 이대열 교수 등 예일대 연구진 연구 결과 소개

인간만이 아니라 원숭이도 잘못된 선택을 후회하는 감정을 느끼고 더 나은 대안을 선택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일(현지시각) 미국 시사주간 타임에 따르면 이대열 교수 등 예일대(大) 의대 연구진은 붉은털원숭이에게 가위바위보를 하는 법을 가르친 뒤, 원숭이가 이기면 상으로 주스를 많이, 비기면 주스를 적게 주고 지면 벌로 아무것도 주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을 계속한 결과, 원숭이가 질 때마다 다음 판에서는 가위바위보 중 앞서 자신을 이겼던 것을 내는 경향이 발견됐다.

이는 원숭이가 과거의 잘못된 결과를 분석하고 다른 결과를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또 가위바위보를 할 때 원숭이의 뇌 활동을 관찰한 결과, 질 때마다 기억과 관련된 기능을 맡은 배 외측 전전두피질(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부분과 후회 감정을 맡은 안와전두피질(orbitofrontal cortex) 부분이 각각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 등은 후회 감정에 대한 이번 연구 결과가 과거 잘못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등 병적인 후회 증상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울대 경제학과 학부를 졸업한 이 교수는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에서 신경과학 박사 학위를 받고 예일대 의대 신경생물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뉴런’에 게재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