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은 부모 재력 관계없이 평등한 교육기회 부여해야”

“대학은 부모 재력 관계없이 평등한 교육기회 부여해야”

입력 2011-05-26 00:00
업데이트 2011-05-26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앤서니 막스 美애머스트대 총장 졸업식사 화제

“특권에는 책임감이 뒤따릅니다. 애머스트대학은 엄청난 비용을 들여 소수의 학생들을 교육하는 엘리트 교육기관이지만, 나는 우리 대학이 학생들의 배경(부모의 재력,학력 등)이 아니라 학생들의 능력을 중시하는 엘리트 기관이라는 성과를 이룬 것에 매우 큰 자부심을 느낍니다.”

지난 22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명문 사립 애머스트대 제190회 졸업식에서 앤서니 막스(52) 총장은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졸업생들에게 선택받은 소수로서의 책임감과 “희망과 기회에 대한 투자”를 강조했다. 막스 총장은 “민주 사회란 다양한 경험과 사상의 다양성을 고취시키기 위해 사회적·경제적 배경과는 관계없이 모든 이들에게 교육받을 권리를 주는 것을 의미한다.”며 평소의 교육철학을 재차 확인했다. 지난 8년간 애머스트대를 이끌었던 막스 총장은 중산층 이하의 학생들에게 교육 기회를 확대한 총장이라고 뉴욕타임스는 24일 높이 평가했다.

이미지 확대
앤서니 막스 美애머스트대 총장
앤서니 막스 美애머스트대 총장
●학생의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

막스 총장은 미국의 명문대들이 상류층만의 리그여서도, 교육의 양극화를 악화시켜서도 안 된다는 소신을 갖고 있다. 그는 미국의 명문대들이 저소득층과 중산층의 뛰어난 학생들을 간과하는 한 진정한 최고의 대학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해 왔다.

2003년 44세의 나이에 애머스트대 총장으로 임명된 막스 총장은 8년간 자신의 교육철학을 실천하기 위해 대학의 신입생 선발 기준을 바꿨다. 이에 힘입어 중산층 이하 학생들에게 지급되는 연방정부 장학금 펠그랜트 수여자가 2005년 13%에서 2011년 22%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저소득 우수학생 입학 장려

막스 총장은 교육의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성적은 우수하지만 가정 형편 때문에 2년제 커뮤니티칼리지에 입학한 학생들의 편입학을 장려했다. 미국판 수능 성적인 SAT 점수도 출신 지역과 학교에 따라 비중을 달리했다. 예를 들어 유명 사립고 출신의 1300점이나 웨스트버지니아나 뉴욕 브롱스 출신의 1250점을 같이 평가했다. 외국 연수 못지않게 세븐일레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이웃 복지시설에서 봉사한 이력을 높이 평가했다. 장학금을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중산층과 외국인 학생들에게도 확대했다.

막스 총장의 애머스트대가 중산층 이하에게 문호를 넓혔다고 해서 학교 수준이 떨어진 것은 아니다. 지난해 포브스 선정 미국 대학 순위에서 3위에 오르는 등 수년째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김균미기자 kmkim@seoul.co.kr

2011-05-26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