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중동플랜] 이 “옹호 여지 없다” 팔 “후속 논의 착수”

[오바마 중동플랜] 이 “옹호 여지 없다” 팔 “후속 논의 착수”

입력 2011-05-21 00:00
업데이트 2011-05-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국 반응 ‘반발·환영’ 극명

19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1967년 경계’ 언급에 대해 당사자인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이스라엘은 1967년 경계를 “옹호할 여지가 없다.”고 강력 반발한 반면, 팔레스타인은 “지지하고 환영한다.”며 후속 논의를 서두르는 모습을 보였다.

오바마 대통령과의 워싱턴 회담을 하루 앞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성명을 통해 “팔레스타인의 존립은 이스라엘의 실체를 희생해서 얻어질 수 없다.”면서 “2004년 미국이 이스라엘에 약속한 바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1967년 경계로 후퇴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2004년 당시 미국의 약속이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과의 평화협정에 따라 요르단강 서안에서 1967년 경계를 넘어 주요 정착촌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반면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수반은 “중동의 평화를 증진시키고 영구적인 지위 협상을 재개하려는 오바마 대통령의 지속적인 노력을 지지한다.”며 후속 조치를 논의하기 위한 긴급회의를 소집하겠다고 밝혔다. 사에브 에레카트 전 팔레스타인 협상 대표는 “아바스가 오바마 대통령의 노력에 사의를 표명했다.”면서 “아바스는 가능한 한 이른 시간에 팔레스타인 지도부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아랍 형제들과도 오바마 대통령의 연설에 관해 논의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팔레스타인의 이슬람 무장 정파인 하마스의 사미 아부 주리 대변인은 오바마 대통령이 슬로건을 발표하는 데 그치지 말고 팔레스타인과 그 주민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구체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또 마게드 압델아지즈 유엔 주재 이집트 대사는 오바마 대통령의 1967년 경계 언급을 지지하고 환영한다면서도 평화회담 재개의 구체적인 방안이 미흡한 점은 실망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오바마 대통령의 새 중동정책에 대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향후 중동 평화협상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박찬구기자 ckpark@seoul.co.kr
2011-05-21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