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축첩행위 권력남용 사례”

“김정일 축첩행위 권력남용 사례”

입력 2011-05-18 00:00
업데이트 2011-05-18 05: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여성들을 납치해 첩으로 삼아온 행위가 시사 주간 타임에 의해 권력남용의 대표적인 사례중 하나로 지적됐다.

타임은 17일 인터넷판에서 미국 뉴욕에서 호텔 여종업원을 성폭행하려한 혐의로 체포된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사건을 계기로 국제적인 권력남용 사례 10건을 예로 들면서 김 위원장의 이런 행태를 7번째로 소개했다.

타임은 “김정일이 저지른 여러 실책중 가장 골치아픈 문제는 권력을 남용해 강제로 일부 여성들을 첩으로 삼은 것”이라며 “특히 여성들을 납치하기 위해 남한에 특공대를 보내고, 영화배우까지 납치했다”며 과거 영화배우 최은희 씨 납치사건을 우회적으로 지적했다.

이어 “‘친애하는 지도자’ 동지는 여러차례 결혼을 통해 모두 5명의 자식을 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들 외에도 9명의 자식을 더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가장 대표적인 권력남용 사례로는 리처드 닉슨 전 미국 대통령이 재선승리를 위해 비밀공작반 ‘백악관 배관공팀’(White House Plumbers)을 만들어 ‘민주당 전국위원회’(DNC) 본부 사무실에 무단 침입해 도청장치를 설치하려다 발각된 워터게이트 사건이 꼽혔다.

부하 여직원을 강간한 혐의로 기소된 모셰 카차브 전 이스라엘 대통령과 질펀한 섹스파티의 은어인 ‘붕가 붕가’(Bunga Bunga)’로 유명한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이탈리아 총리의 스캔들도 대표적인 권력남용 사례로 한 자리를 차지했다.

또 지난해 조카를 성추행한 혐의를 시인하고 사임한 벨기에 부뤼헤 교구의 로저 반겔루위 전 주교도 불명예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밖에 인도의 이동통신 주파수 할당과 관련한 스캔들과 데니스 코즐로우스키 전 타이코 대표의 공금 착복 그리고 중국 식품약품감독국 국장 정샤오위의 뇌물 스캔들도 권력남용 행위로 꼽혔다.

타임은 또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의 족벌주의 행태, 그리고 1923년 친구에게 거액의 뇌물을 받고 유전을 빌려준 알버트 폴 미 내무장관의 비리도 권력을 남용한 나쁜 사례로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