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총구 겨눈 아프간 형제의 비극

서로 총구 겨눈 아프간 형제의 비극

입력 2011-04-13 00:00
업데이트 2011-04-13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 이불 덮던 그들… 형은 탈레반軍·동생은 경찰로…

갈(23)과 라지크(20)는 어려서부터 먼지 나는 담요를 같이 덮고 잤다. 같은 감자밭에서 일했고, 같은 이슬람 사원에서 기도했다. 하지만 아프가니스탄 자불주(州)의 이 가난한 형제는 지금 서로 총부리를 겨누고 있다. 전쟁이 형제를 갈라놓은 것이다.

형인 갈은 2007년 어느 여름날 가출해 탈레반에 들어갔다. 라지크도 곧 집을 나갔지만 형과는 정반대 방향으로 갔다. 미군의 지원을 받는 아프간 경찰이 된 것이다. 형제는 최근 칸다하르에서 서로가 모르게 따로따로 워싱턴포스트와 인터뷰를 가졌다. 갈은 “동생을 전쟁터에서 맞닥뜨리는 것은 시간 문제인 것 같다.”고 인터뷰에서 말했고, 라지크도 “형과 싸우는 것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일”이라고 했다.

한국전쟁 때 같은 뱃속에서 나온 형제가 국방군과 인민군으로 나뉘어 서로 총부리를 겨눈 일은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에도 나온다. 이런 비극이 지금 아프간에서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갈은 평소 탈레반의 이슬람 근본주의를 흠모하던 중 미군이 자신의 사촌을 사살하는 것을 목격한 뒤 탈레반에 들어가기로 결심했다. 반면 라지크는 집을 돌봐야 할 형이 학교를 불태우고 여자들을 학대하는 탈레반을 위해 일하는 것이 혐오스러웠다.

라지크의 눈에 미군은 집과 병원을 지어 주고 아프간 군인과 경찰을 훈련시켜 주는 고마운 존재였다.

이들보다 더 살벌한 골육상쟁(骨肉相爭)도 있다. 갈 형제와 같은 고향 출신인 야르 모하메드는 2006년 이란에서 잠시 살았을 때 깨끗한 거리와 비교적 자유로운 복장을 한 사람들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이란 남자들은 멋진 청바지를 입었고 여자들은 부르카로 얼굴을 가리지 않고 돌아다녔다. 고향에 돌아오자마자 모하메드는 처자식까지 버리고 경찰이 됐다.

탈레반 지도자급인 형 카나이는 격노했다. 그는 “배신자 모하메드는 이미 죽은 사람이다. 미국인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몇달 전 모하메드는 형에게 전화를 걸어 아내와 딸을 보러 고향을 방문하고 싶다고 했다.

형은 그런 동생에게 한껏 저주를 퍼부으면서 “네가 나타나면 내 손으로 죽여 버리겠다. 배신자에 대한 형벌은 죽음뿐”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에 비하면 갈 형제는 그나마 나은 편이다. 둘 다 상대방이 일을 그만두기만 하면 다시 옛날로 돌아갈 수 있다는 생각이나마 갖고 있다. 라지크는 “우리는 좋은 형제였다.”고 말했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04-13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