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방사능 공포] 방사능 오염수 1만1500t 방류… 바다에 펜스 설치해 가둔다

[日 방사능 공포] 방사능 오염수 1만1500t 방류… 바다에 펜스 설치해 가둔다

입력 2011-04-05 00:00
업데이트 2011-04-05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日 힘겨운 ‘물과의 전쟁’

후쿠시마 제1원전 2호기 방사능 오염수를 차단하기 위한 1차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자 도쿄전력은 취수구 부근의 바닷물을 가두는 방법을 검토 중이다. 또 확산 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착색제를 투입하고 러시아의 방사능 오염수 정화 장비를 도입하는 등 다각도로 ‘물과의 전쟁’을 이어가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와 함께 상대적으로 방사성물질의 농도가 낮은 원전 내 ‘집중폐기물처리시설’ 오염수 1만t과 5·6호기 지하수 보관 시설의 저농도 오염수 1500t 등 총 1만 1500t을 4일 바다로 방출했다. 집중폐기물처리시설의 오염수는 오후 7시부터, 5·6호기 지하수 보관 시설의 오염수는 오후 9시부터 방출했다. 2호기 터빈 건물 지하에 고인 고농도 오염수를 저장하기 위해 저농도 오염수를 빼내기로 한 것이다. 방사성물질 농도가 법정 기준의 100배 이상이지만 인체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다는 것이 도교전력의 주장이다.

이날 아사히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지난 2~3일 도교전력 기술자들이 콘크리트와 물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폴리머 소재 등을 이용, 오염수가 흐르고 있는 관을 막으려고 했으나 실패했다. 원자력안전보안원은 이날 오전 7시 현재 취수구 인근의 균열 부위에서 오염수가 계속 나오고 있고 그 양도 감소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도교전력이 내놓은 두번째 카드는 오탁방지막(silt fence)이다. 오탁방지막은 부표를 이용, 해수면에서 해저까지 막을 쳐서 해수의 이동을 막는 시설로 주로 토목 공사 때 흙탕물 등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원전 인근 수심은 5~6m로 기술적으로는 설치가 가능하다.

니시야마 히데히코 원자력안전보안원 대변인은 기자회견에서 도교전력의 이 같은 계획을 전한 뒤 “방지막 설치에는 며칠이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단 2호기 취수구에 먼저 설치하고 4호기 인근 제방에도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교도통신은 보도했다. 또 방사능 오염수가 관이 아닌 다른 곳에도 흐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갱도 주변 땅속에 속성 건조 시멘트와 약품을 주입, 지반을 굳히는 작업도 강구하고 있다. 현재 관 아래에는 돌들이 깔려 있어 이곳이 또 다른 오염수의 이동 통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교전력은 오염수 유출이 멈추지 않음에 따라 오전 7시 10분쯤 13㎏의 착색 분말을 상류쪽 수직 갱도에 투입했다. 물의 속도와 양을 관찰, 오염수가 취수구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문제가 된 전선 보관 시설 내 균열 외에 추가로 오염수가 새고 있는지를 확인하겠다는 것이다.

러시아는 방사성물질 오염수를 정수하는 해상 장비 ‘란디시’(은방울꽃이라는 뜻)를 일본에 공급할 계획이라고 리아노보스티 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일본 측이 먼저 장비 제공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1-04-05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