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월급 제자리인데… 美 CEO 보너스 47%↑”

“직원 월급 제자리인데… 美 CEO 보너스 47%↑”

입력 2011-04-04 00:00
업데이트 2011-04-04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상처가 채 아물지 않은 지난해 미국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의 연봉이 2009년 대비 27%, 보너스는 47% 치솟아 금융위기 이후 최대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2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USA투데이는 기업지배구조평가기관 GMI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며, 금융위기 직후 CEO들의 연봉 감축은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했다고 꼬집었다.

이미지 확대
이번 조사는 미국 S&P500 지수에 포함된 기업 가운데 2009~10년 같은 CEO가 경영한 158개 기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지난해 이 기업들의 CEO 전체 연봉 중간값은 900만 달러(약 98억 1900만원)에 이르렀다. 이는 전년(710만 달러)보다 27%이상 급등한 것으로, 2007년(920만 달러) 이후 최대치다.

보너스는 더 뛰었다. 2009년 150만 달러(중간값)를 받았던 CEO들은 지난해 47% 오른 220만 달러를 챙긴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일반 기업 근로자들의 연봉은 제자리걸음에 그쳤다. 미국 노동통계국은 지난해 일반 근로자들의 연봉은 전년보다 2.1% 올랐다고 밝혔다.

CEO들의 연봉 잔치는 아직도 경기 회복이 더디고 실업률이 고공행진 중인 가운데 이뤄진 것이어서 거센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이익도 주식시장이 정점을 찍었던 2007년보다 1.5% 상승했을 뿐이다. 지난해 가장 높은 수입을 올린 CEO는 바이콤의 필립 다우먼으로 845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두번째는 옥시덴털 페트로늄 CEO 레이 이라니로 지난해 7610만 달러를 챙겼다. CEO들의 연봉이 대폭 오른 것에는 주식시장의 상승세가 한몫했다. 해당 CEO들이 보유하고 있는 스톡옵션 중간값은 560만 달러로 전년보다 32%나 올랐다.

하지만 기업 주가 상승에 따른 CEO 연봉의 상승이 기업의 실제 성과와는 별개라는 지적이 나온다. S&P500 지수에 포함된 기업들이 지난해 전년대비 47% 높은 기업이익을 냈지만 대부분 비용절감이나 인력감축 등 구조조정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CEO들의 보너스 잔치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도 크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지난 1월 말 경영진의 인센티브에 대해 주주들이 투표할 수 있도록 하는 새 규정을 통과시켰기 때문이다. 이미 휼렛패커드, 셔플 마스터 등 4개 회사 주주들이 연봉 계획에 반대표를 던졌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1-04-04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