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로 격납용기 감압 실패… 폭발력 1호기 때보다 훨씬 강력

원자로 격납용기 감압 실패… 폭발력 1호기 때보다 훨씬 강력

입력 2011-03-15 00:00
업데이트 2011-03-15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후쿠시마 원전 잇단 폭발… 방사능 누출 막아라

일본 정부가 대지진과 쓰나미를 능가하는 방사능 누출이라는 ‘제2의 재앙’을 막기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다. 최후의 수단인 바닷물까지 부어가면서 원자로 폭발을 막기 위해 냉각장치를 식히려고 노력 중이다. 원전들 가운데 냉각기능 정지 등 이상징후를 보이는 원자로들이 늘고 있어 긴장이 계속 높아가고 있다.



이미지 확대
지난 12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폭발에 이어 14일 낮 11시 1분 인근 3호기도 수소 폭발을 일으킨 직후 검은 연기 기둥이 하늘 위로 치솟고 있다.   NHK 화면 연합뉴스
지난 12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폭발에 이어 14일 낮 11시 1분 인근 3호기도 수소 폭발을 일으킨 직후 검은 연기 기둥이 하늘 위로 치솟고 있다.

NHK 화면 연합뉴스


지난 12일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한 데 이어 14일 오전 11시 1분 3호기에서도 수소폭발이 발생해 11명이 부상했다. 에다노 유키오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을 갖고 “3호기의 폭발 원인도 1호기와 같은 수소폭발로 보인다.”면서 “그러나 대규모 방사성 물질이 떠다닐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후쿠시마 제1원전 2호기도 냉각장치 가동이 정지돼 냉각수 수위가 낮아지고 있다고 지지통신이 보도, 원전 폭발의 공포는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의 격납용기 내 압력을 낮추기 위한 밤샘 노력이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후쿠시마 제1원전 내 원자로 6기 중 정비를 위해 정지 중인 3기를 뺀 나머지 3기 모두 폭발할 가능성이 커진다.

앞서 지난 13일에는 한때 후쿠시마 원전 북쪽에 위치한 오가나와 원전과 남쪽의 도카이 원전에서도 기준치 이상의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는 보도가 전해졌으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돼 가슴을 쓸어내렸다.

도쿄전력은 원자로의 폭발을 막기 위해 가능한 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일단 제1원전에서는 지난 13일부터 바닷물을 주입해 냉각수의 수위를 높여 1, 3호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했다. 이날 밤 3호기에 바닷물을 넣었지만 장비 고장으로 2시간 만에 중단했고 결국 14일 오전 11시쯤 폭발했다. 14일 가동을 중단한 2호기에도 바닷물을 넣고 있다. 바닷물을 넣으면 원자로는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하다.

에다노 관방장관은 3호기 폭발 후에도 원자로가 내부의 압력을 견뎌내고는 있다고 밝혔지만, 냉각기능이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압력을 견뎌낼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 근무했던 핵전문가 올리 헤이노넨은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바닷물을 넣어 원자로 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일본 기술진이 노력하고 있으나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원자로 내 온도가 내려갔는지는 하루 이틀 지나 봐야 알 것”이라며 유보적 입장을 보였다.

시즈오카현의 하마오카 원전 운영사인 주부전력은 비상용 발전기 차량을 추가로 배치해 전력 공급 중단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력 공급이 재개돼야 한다. 그래야만 원자로 냉각시스템을 다시 작동해 노심의 용해를 막아 추가 폭발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제1원전 주변 20㎞ 내 주민 20여만명에 대해 대피 조치를 취했고 아직 대피하지 않은 주민들에게는 건물 내에 머물 것을 당부했다.

현재는 해당 원전 주변의 방사성 물질 수치가 법적 한도를 넘지 않아 위험하지는 않다고 하지만 여전히 평상시보다는 높은 상태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해 현재 후쿠시마 제1원전 주변의 방사성 물질은 인체에 위험한 정도는 아니지만 한달 만에 연간 허용치에 도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 당국자들이 사고 원전 외부의 방사능 농도가 비교적 낮은 상태라고 밝히고 있지만 미국과 영국 등 외국 전문가들은 향후 상황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지 않다.

뉴욕타임스는 13일(현지시간) 자에서 미국 국방부가 헬기를 동원해 사고 원전 인근의 방사성 물질을 수거해 분석한 결과 세슘과 방사성 요오드 등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나 심각한 환경 오염이 우려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원자로를 식히기 위해 주기적으로 방사성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는데 이는 핵융합 현상이 끝난 이후에도 1년 이상 진행될 수 있다고 전했다.

방사성 물질이 바람을 타고 도심으로 향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막기 위한 사투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

김균미기자 kmkim@seoul.co.kr

2011-03-15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