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발 ‘트위터 혁명’, 중앙아 전파는 “글쎄”

중동발 ‘트위터 혁명’, 중앙아 전파는 “글쎄”

입력 2011-02-25 00:00
업데이트 2011-02-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각국 정부, 트위터·블로그 등 뉴미디어 엄격 통제

 북아프리카와 중동을 휩쓸고 있는 민주화 요구 시위가 거센 가운데 중앙아시아에도 그 불똥이 튈지 주목된다.

 소련 붕괴 후 독립된 지 20여 년이 지나도록 1인이 장기 집권하는 우즈베키스탄이나 카자흐스탄은 물론 인근 투르크메니스탄과 타지키스탄 역시 강압 통치로 국민을 통제하고 부정부패와 서민의 가난과 궁핍 등 많은 것이 닮은꼴이다.또 이슬람권이라는 것도 공통점이다.

 하지만 중동이나 북아프리카처럼 중앙아에서 민중봉기가 들불처럼 일어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는 것이 관측통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번 민중봉기에 큰 역할을 한 트위터나 블로그 같은 새로운 소통 수단을 중앙아 각국 정부가 엄격히 통제해 오고 있기 때문이다.

 투르크멘에서는 2008년에야 인터넷 접근이 가능했고 무제한 인터넷을 쓰려면 월 7천 달러라는 높은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이 나라의 1인당 연 국민총생산(GDP)은 7천 달러를 간신히 넘는다.

 유튜브나 페이스북,트위터와 같은 사이트는 아예 봉쇄돼 있다.인터넷 카페가 있긴 하지만 이용하려면 신분증을 보여줘야 하는 절차가 따른다.

 특히 투르크멘과 우즈벡 언론은 인터넷 등에 힘입어 대규모 시위가 가능했던 튀니지와 이집트 사태를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지난주 이 지역을 방문한 로버트 블레이크 미국 국무부 중앙아시아·남아시아 담당 차관보는 자유언론과 젊은이들이 자신을 표현하게 하는 그러한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상대적으로 폐쇄된 사회의 지도자들이 튀니지와 이집트에서 일어난 교훈에 귀 기울이고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경고했다.

 이슬람 카리모프 대통령이 20여 년을 통치하는 우즈벡에서도 2000년대 중반 우크라이나와 조지아(옛 그루지아)에서 정권이 바뀐 뒤 인터넷 이용 단속에 고삐를 죄고 있다.

 국가에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순간 이용자의 인터넷이 차단될 수 있고 민영 뉴스 웹사이트는 금지돼 있다.

 인터넷 카페에 붙은 경고문엔 반헌법적,종교적 극단주의와 포르노 콘텐츠를 포함한 웹사이트 이용은 금한다고 적시돼 있다.

 언론자유 옹호 단체인 국경 없는 기자회는 우즈벡과 투르크멘을 북한과 함께 ‘인터넷의 적’인 12개 나라에 포함시켰다.

 중앙아에서 가장 개방적인 카자흐도 모든 웹사이트를 언론이라고 이름 붙여 인터넷 통제를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리나 메드니코바 카자흐 자유 인터넷 운동 책임자는 “심지어 등록이 필요치 않은 블로그까지도 자동으로 언론이 된다”고 비판하면서 “정부를 비판하는 언론을 터무니없이 기소하고 재판 후에 벌금을 물리고,체포하고,언론을 폐쇄한다”고 비난했다고 AFP 통신이 전했다.

 카자흐에서는 야당 인터넷 뉴스 사이트인 레스푸블리카,인터넷 TV 채널인 K플러스- TV,인터넷 라디오인 인카르 등이 폐쇄된 상태다.

 하지만 이렇듯 중앙아 통치자들이 뉴 미디어에 대한 통제를 엄격히 하고 있지만 오랜 독재에서 오는 피로와 부정부패,빈부격차 등에 대한 불만을 국민이 언제까지 안으로만 삼키고 있을지는 예단하기 어렵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