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무늬만 개혁 카드… 내용은 시위대에 선전포고

리비아, 무늬만 개혁 카드… 내용은 시위대에 선전포고

입력 2011-02-22 00:00
업데이트 2011-02-22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자비한 시위 진압에도 사태가 수습되기는커녕 수도 트리폴리로까지 시위가 확산되면서 42년째 철권 통치를 해 온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가 최대 위기에 봉착했다.

카다피는 아들 사이프 알이슬람을 내세워 시위 발생 6일째인 20일(현지시간) 개혁 카드를 슬쩍 꺼냈다. 이날 밤 국영 TV에서 며칠 내로 개혁안을 제시하겠다고만 했을 뿐 구체적인 내용도 없었다. 더욱이 연설의 핵심은 개혁이라기보다는 트리폴리로 확산된 시위에 대한 선전포고에 더 가까웠다. 그는 “우리의 지도자 카다피가 트리폴리의 전투를 이끌고 있다.”면서 “군은 우리 편이며 수만명이 카다피를 돕기 위해 이곳으로 오고 있다.”고 말하는 등 40분 가까운 연설의 대부분을 카다피 정권의 건재함을 과시하는 데 할애했다.

하지만 이미 제2 도시인 벵가지에서는 군이 시위대 쪽으로 돌아선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의 한 변호사는 로이터통신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벼락’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 한 정예부대가 시위대 편에 섰으며 근위병도 제압했다고 전했다. 카다피의 고향인 시르테도 시위대가 장악했다고 프랑스 인권단체인 국제인권연합(IFHR)이 주장했지만 현지 목격자들은 이를 부인했다.

또 트리폴리에서는 21일 새벽 국영 방송사가 시위대에 습격당하고 인민위원회 지부와 경찰서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등 시위가 점점 격렬해지고 있다. 무스타파 압델잘릴 법무장관은 시위대에 과도한 폭력을 사용한 점에 책임을지고 이날 자리에서 물러났다고 현지언론이 보도했다고 BBC가 전했다.

다른 독재 국가에서와 마찬가지로 리비아에서도 군은 정권 유지의 버팀목 역할을 해 왔다. 군 지도부 차원에서의 조직적인 반정부 움직임은 없지만 군 내부에 균열이 가기 시작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카다피의 아들 사이프가 연설하는 동안 트리폴리 시위 진압에 동원된 이들이 정규군이 아닌 아프리카 출신 용병으로 보인다는 목격담이 속출하면서 군이 흔들리고 있다는 추정에 힘을 실어줬다. 카다피 아들의 연설도 별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시위대가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자, 무력 진압은 계속됐다.

또 시위 6일 만에 카다피가 아닌 아들이 얼굴을 내비치면서 오히려 카다피의 소재에 대한 의혹이 커지고 있다. 사직 후 21일 알자지라와 인터뷰한 중국 베이징 주재 후세인 사디크 알 무스라티 대사는 “카다피 아들들 사이에 총격도 있었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 같은 주장의 진위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알 무스라티가 인터뷰에서 모든 리비아 대사들에게 사임을 촉구한 데서 카다피 정권 상층부에 심상치 않은 기류가 흐르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나길회·유대근기자 kkirina@seoul.co.kr
2011-02-22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