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치는 동북아 패권경쟁] 中 향방은 “美엔 강경… 주변국엔 유화책”

[요동치는 동북아 패권경쟁] 中 향방은 “美엔 강경… 주변국엔 유화책”

입력 2010-09-29 00:00
업데이트 2010-09-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한 ‘힘’으로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영토 분쟁에서 일본에 승리한 중국의 향배에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덩샤오핑이 ‘100년동안 간직하라’며 신신당부했던 도광양회(韜光養晦·재능을 숨기고 때를 기다림)를 던져 버린 만큼 ‘힘’을 통한 ‘굴기(우뚝 섬) 외교’가 본격화하지 않겠느냐는 우려다.

하지만 베이징 외교가나 중국 내 전문가들의 견해는 이 같은 전망과는 사뭇 다르다. 비록 국제적으로는 미국과 견주는 주요 2개국(G2)으로 대접받고 있지만 중국 스스로는 아직 미국에 대적할 힘이 부족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강력한 힘의 외교를 펼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저명학자는 28일 “댜오위다오 사건에서 중국이 일본에 강경하게 대응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미국과의 거래가 있었다.”면서 “미국이 가만있지 않았다면 중국이 그처럼 강하게 나갈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앞으로 중국 외교는 강자에 강하고, 약자에 약하게 대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면서 “일반적 문제에는 유연하게 대처하되 핵심이익에는 단호한 ‘강온’ 양면전략을 구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에 대한 견제는 더 강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외교지휘부는 미국이 중국의 발전을 의도적으로 가로막고 있다는 피해의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전문가는 “미국은 중국이 경제발전에만 몰두하겠다며 ‘평화발전’을 외쳐대도 절대 믿지 않는다.”면서 “중국이 경제발전을 이룬 뒤에는 군사력을 증강, 미국에 도전하는 상황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은 조용히 발전하려 해도 그럴 수 없는 환경에 처해 있다.”면서 “이번 일이 장애가 되겠지만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들과 힘을 합치는 쪽으로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베이징 외교가의 정세 판단도 사뭇 다르지 않다. 한 소식통은 “중·일 관계가 계속 악화일로로 가지는 않을 것”이라며 “중국 측의 손실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주변국의 중국에 대한 경계심이 강화됐고, 미국에 아시아개입 명분을 제공하는 등의 적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0-09-29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