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미폰 국왕 침묵의 이유

푸미폰 국왕 침묵의 이유

입력 2010-05-17 00:00
업데이트 2010-05-17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부 ‘親왕실 기조’에 중재역 난감

이미지 확대
태국 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해왔던 푸미폰 아둔야뎃(82) 국왕이 최근의 시위 정국에 대해선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2개월 넘은 반정부 시위가 내전 상태로 접어들었건만 국왕은 각계의 개입 호소에도 불구, 전과 달리 가타부타 말이 없다.

국왕이 중재 활동을 벌이지 않는 표면적인 이유는 건강 문제. 지난해 9월부터 고열과 식욕부진 등으로 방콕 시리라즈 병원에 장기입원해 있다. 그러나 그가 침묵하는 진짜 이유는 이번 사태가 계층간 갈등에서 비롯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과거와 달리 국왕 자신도 ‘이해당사자’가 돼 끼어들기가 껄끄럽게 됐다는 것이다.

과거 푸미폰 국왕은 군부와 민주화 세력 간의 충돌 과정에 ‘제3자’로서 개입할 수 있었다. 현재는 왕실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온 탁신 친나왓 전 총리를 지지하는 시위대를 지원할 수도 없고, 왕실 수호를 기치로 내걸고 있는 현 정부와 군부 손을 섣불리 들어줄 수도 없는 난감한 상황이다.

태국은 입헌군주제 국가이지만 푸미폰 국왕은 ‘헌법 위의 존재’로서 초월적인 영향력을 발휘해 왔다. 1946년 즉위해 60년 넘게 재임하고 있는 그는 재임 기간 19번의 군부 쿠데타와 16번의 헌법 개정 등 사회 격변을 겪었지만 지도력과 중재 능력으로 고비 때마다 사태를 해결해 ‘살아있는 부처’로 추앙받아 왔다.

그는 1973년 군부가 민주화 시위를 벌이는 학생들을 향해 발포하자 궁전 문을 열어 학생들의 편에 섰고 1992년 군사정권에 의해 민주주의가 위험에 처했을 때도 직접 개입해 군사정권을 종식시켰다. 1992년 당시 군부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수친다 총리와 야권의 잠롱 방콕 시장을 왕궁으로 불러들여 무릎을 꿇어앉히며 준엄하게 질책하던 모습은 국왕의 권위를 상징한다. 당시 푸미폰 국왕이 군부 쿠데타에 반대하자 수친다 총리는 해외 망명길을 떠났다.

이석우기자 jun88@seoul.co.kr
2010-05-17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