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레 강진] 빗나간 쓰나미 경보 과학자들 머쓱

[칠레 강진] 빗나간 쓰나미 경보 과학자들 머쓱

입력 2010-03-02 00:00
업데이트 2010-03-02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워싱턴 김균미특파원│칠레 강진에 따른 강력한 쓰나미를 예상했던 53개 태평양 연안 국가들은 쓰나미의 규모가 예상치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으면서 별 피해 없이 지나가자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하지만 과학자들의 과도한 경보로 국민들이 장시간 불안에 떨고 생활에 불편을 초래했다며 정확성이 떨어지는 예측능력이 문제로 지적됐다.

일본 기상청은 1일 쓰나미를 너무 높게 예측한 데 대해 사과했으나 미국의 과학자들은 쓰나미의 위협을 과도하게 예측한 결과가 됐지만 적절한 단계를 거쳐 내려진 조치라고 해명했다. 똑같은 상황이 반복되더라도 같은 결론을 내렸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와이에 있는 태평양쓰나미경보센터의 해양학자 다이 린 왕은 “우리로서는 최악의 상황을 상정하고 대처해야 한다.”면서 “경보 발령은 선택 사항이 아니다. 자칫 상황을 안이하게 판단했다가는 단순히 낭패가 아닌 재앙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라고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해양학자들은 제때 쓰나미 경보를 발령하지 않아 23만명의 인명피해를 낳은 2004년 인도네시아 쓰나미를 잊을 수 없다.

빗나간 쓰나미 경보에 과학자들도 당혹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아직까지 사과를 하지는 않았지만 부정확한 예측이 잦다 보니 행여 예측기관들의 신뢰성을 떨어뜨릴까 내심 걱정하고 있다. 한마디로 양치기 소년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해양학자 왕은 “경보를 남발하다 보면 신뢰를 잃을 수 있다.”면서 “이 문제를 잘 알고 있고, 예측능력을 향상시키는 길밖에 답이 없다.”고 말했다.

과학이 발달했다고는 하나 쓰나미 규모와 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과학자들은 현재 태평양상 심해 30여곳에 센서를 설치, 쓰나미 발생 여부를 관측한다. 심해 5000~8000여m 아래에 설치된 센서에서 보내오는 데이터를 분석해 정확한 위치와 강도 등을 찾아내야 한다. 또한 해안선의 지형에 대한 자료가 한정돼 있어 오차가 생길 수밖에 없다. 그렇다 보니 예측을 보수적으로 할 수밖에 없고, 이번처럼 과도한 경보를 내리게 된다. 하지만 경보도 내리지 않아 무방비로 재앙을 맞기 보다는 결과적으로 헛수고가 될지라도 철저하게 대비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kmkim@seoul.co.kr
2010-03-02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