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속마음을 헤아릴 수 있게 된 마지막 시간, 7일

그저 건망증이 심한 줄로만 알았던 중년 부인 ‘레이코’는 갑작스레 뇌종양 판정을 받는다. 단 7일밖에 살지 못한다는 의사의 말에 남편과 맏아들은 망연자실할 수밖에 없다. 가족들이 충격에 빠져 있는 와중에도 무의식중에 어린아이처럼 속마음을 뱉어내는 레이코의 대사는 이 가정의 아픔과 상처를 하나씩 끄집어내며 죄책감과 슬픔을 더한다.

‘이별까지 7일’은 먼저, 레이코의 증세가 급속도로 악화되는 모습을 담아내며 이를 지켜보는 가족들의 먹먹하고 무기력한 상태를 그대로 전달한다. 마음의 준비를 한다는 것은 정도의 차이일 뿐, 가족의 죽음을 앞두고 초연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사실 인간이 ‘죽음’을 두려워하는 이유는 상당 부분 우리가 그것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사신(死神·Thanatos)을 언제 어떻게 마주하게 될지 그리고 그 이후에 무엇이 기다리고 있을지 모른다는 일종의 불안과 공포는 모든 철학과 신학의 근간이 되어 왔으며 안전과 건강에 대한 인간의, 때로는 지나치다 싶을 정도의 본능을 잘 설명해 주기도 한다.

또한 죽음을 둘러싼 무지(無知)는 공상과학 영화와 공포 영화들에서 흔히 볼 수 있듯 온갖 상상력을 동원해 스크린을 채워 왔다. 그러나 죽음이라는 소재를 보다 현실적으로 다룬 영화들은 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그것의 두 가지 성격을 건드린다. 즉,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는 것과 죽은 자는 살아서 다시 만날 수 없다는 것. ‘이별까지 7일’ 역시 영원한 작별, 그것도 사랑하는 가족과의 이별을 의미하는 두 번째 특성을 앞세워 관객들의 눈물샘을 자극한다.

그런데 이것은 이 영화의 도입부일 뿐이다. 첫 장면에서 레이코를 클로즈업한 카메라는 그녀가 입원하자 가족들에게로 시선을 옮겨간다. 여기서부터 남편과 아들들이 레이코의 죽음에 대처하는 과정이 섬세하고 치밀하게 펼쳐진다.

영화의 공감대는 여느 가족의 구성원들을 그대로 가져다 놓은 듯한 캐릭터들의 핍진성에서 극대화된다. 무능력한 아버지, 내성적이고 책임감 강한 맏아들, 까칠하고 이기적인 며느리, 철은 없어도 심성은 착한 막내아들 등은 각각 개성을 분명히 드러내며 차례로 영화에 색깔을 덧입힌다.

남편과 두 아들은 정신적 충격과 경제적 부담으로 극심한 좌절과 압박감에 시달리지만, 곧 각자 해야 할 일들을 처리하기 시작한다. 그들은 레이코의 병을 겪으며 비로소 가족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고 그 역할을 해내게 된 것이다. 이 영화에서 가족은 죽음의 그림자까지도 희미하게 만드는 묘약이자 희망 그 자체다. 그렇게 세 남성의 성장과 함께 무채색의 영화를 컬러로 복원하는 과정이 끝나면 카메라는 마지막으로 맏아들의 얼굴을 클로즈업한다. 한 개인의 성숙은 물론이요, 고락(苦) 속에 피어난 가족애가 다음 세대로 이행될 것을 보여주는 인상적인 엔딩이다.

연출 자체는 소박하고 단순하지만 죽음을 준비하는 가족이라는 소재를 나름의 시선으로 풀어간 뚝심이 감동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작품이다. 15일 개봉, 12세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