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전업 작가와 연봉 800만원/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열린세상]전업 작가와 연봉 800만원/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입력 2012-03-20 00:00
수정 2012-03-20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최근 두 명의 작가를 만났다. 한 작가는 소설가다. 이런저런 대화를 나누던 끝에 그는 지금 구상 중인 작품에 대해 말했다. 몇 년 전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탈옥수 이야기를 소설로 쓰면 베스트셀러가 되지 않겠느냐고 그는 물었다. 나는 단호하게 그런 것은 소설이 될 수 없다고 했다.

또 다른 작가는 시인이다. 전업 작가인 그가 다 죽어 가는 목소리로 전화를 해 술 한 잔 사 달라고 했다. 묵묵히 술만 마시던 그가 한참 뒤에 긴 한숨을 내쉬면서 말했다. 정말 살기 힘들다고. 서울 변두리에 사는 시인은 오른 전셋값 때문에 은행에 대출을 받으러 갔다. 그런데 은행에서 그의 작년 총수입이 800만원 정도이기에 아주 적은 금액만 대출이 가능하다고 했다는 것이다. 시만 아니면 죽고 싶다고 중얼거리는 시인에게 나는 아무런 위로의 말도 해 주지 못했다.

세계 10위 경제대국 한국에서 전업 작가로 살아가기는 무척 힘들다. 소설 한 편을 쓰면 대략 50만원의 고료를 받는다. 일 년에 열 편을 쓰면 500만원이다. 그런데 일 년에 서너 편 쓰기도 힘든 것이 창작 아닌가. 운 좋게 대기업 사보에 글을 쓰면 고료가 꽤 된다. 그러나 그런 기회도 마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어쩔 수 없이 강연을 하고, 대학에서 시간 강의를 한다. 그 와중에도 열심히 창작해서 장편소설을 발표해 인세를 받는다. 그렇게 해서 일 년에 800만원 정도를 번다. 80만원 세대가 따로 없다.

왜 전업 작가의 길을 걷는가. 문학은 현실의 모순을 비판하고 그것이 극복된 진정 인간다운 세계를 지향한다. 그러기에 작가는 현실에 안주해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다. 현실 문제에 치열하게 부딪치고 그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고민하면서 살아간다. 그런 산고와 같은 고통을 겪으면서 태어난 작품은 독자인 우리들에게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뼈아프게 깨우쳐 준다.

물론 일정한 직업을 가지면서 작가 활동을 할 수도 있다. 시인이자 방송인인 어느 작가가 방송 일과 시 쓰는 일이 너무 달라 무척 힘들었다고 고백한 적이 있다. 그래도 그는 방송인으로서, 또 시인으로서 자신의 삶에 최선을 다한 결과 양쪽 모두에서 큰 결실을 맺었다. 그러나 그런 경우는 극히 드물다. 문학과 거리가 있는 직업을 가진 작가들이 창작에서 멀어지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위대한 작가를 두고 예외적 개인이라 한다. 정치, 사회, 경제 등 제반 분야의 지식인들 중에서 그 사회가 나아갈 올바른 방향을 제일 먼저 포착하는 것이 예외적 개인으로서의 작가다. 이를 위해 작가는 그가 살아가는 사회의 총체적인 모순을 꿰뚫고 있어야 한다. 인문, 사회, 과학, 예술 등 제 분야의 지식을 모두 섭렵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의 본질적인 모순을 천착해야 한다.

탈옥수류의 세태적인 이야기를 다루어 베스트셀러를 만들어 보겠다고 생각하는 작가는 예외적 개인이 될 수 없다. 시류에 편승해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면 부와 명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그렇지만 인간다움을 지향하는 문학 작품으로 두고두고 인구에 회자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생활고를 견뎌 내면서 창작에 전념하는 전업 작가들의 꿈은 무엇일까. 지금 당장의 부와 명예를 목적으로 한다면 아마 그들은 문학을 포기했을 것이다. 그들의 꿈은 단 하나, 예외적 개인이 되고자 하는 것 아닐까.

이상은 수필 ‘권태’에서 어둡고 좁은 방에 누워 희망 없는 내일에 절망하면서 “오들오들 떨고 있다.”라고 했다. 일제강점기라는 암흑기와 맞서 문학에 생의 전부를 건 이상의 이 독백을 떠올릴 때마다 가슴이 아려 온다. 예외적 개인을 꿈꾸는 우리 시대의 모든 전업 작가들 역시 어둡고 추운 방에서 오들오들 떨면서 작품과 치열한 싸움을 벌이고 있을 것이다. 그들에게 원고료를 올려 주고 기본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보다 그들이 왜 오들오들 떨면서 창작에 전념하는지를 이해하고 그들의 작품에 따뜻한 관심을 가져 주는 분위기가 조성되면 얼마나 좋을까. 비인간화 시대에 인간다운 가치를 추구하는 전업 작가들에게 한없는 존경을 표한다.

2012-03-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