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종편과 분열지향적 언론/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열린세상] 종편과 분열지향적 언론/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입력 2011-11-10 00:00
업데이트 2011-11-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음 달 초 개국을 앞두고 조선, 중앙, 동아, 매경 등 4개의 종합편성채널(종편)과 연합뉴스의 뉴스채널이 준비 작업에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시간에 쫓겨 일부 채널은 개국을 제때 못하거나 시범방송 정도를 하다가 내년 초에야 본 방송을 할 수 있을 거라는 예상도 들린다. 새 채널을 준비하는 사람들이야 눈코 뜰 새 없겠지만, 밖에서 보면 폭풍전야처럼 너무나 고요해 이상한 느낌마저 든다. 종편은 우리 사회에 어떤 편익과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까. 혹여나 사회 분열의 폭발음이나 내지나 않을까 저어하는 마음이 무겁다.

이미지 확대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가뜩이나 우리 사회의 분열은 점점 심각한 수준으로 가고 있다. 정파적·이념적 분열은 고착화되고 있고, 최근에는 10·26 재·보궐선거 결과가 보여주듯 세대 간 분열과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문제는 분열의 현상과 갈등의 결과를 다들 우려만 할 뿐 어쩌지를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분열을 걱정하고 뭔가 해야 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는 주체들이 사실은 분열을 만들어낸 원인 주체이기 때문이다. 사회 분열 문제를 보도하는 언론이야말로 문제인 것이다. 스스로 언론끼리 분열하고 그것이 사회 분열로 이어지게 만든 장본인은 아니었는지. 이래저래 분열의 상흔을 안고 있는 언론사들은 이제 성찰과 반성의 겨를도 없이 종편과 인터넷·소셜미디어 등 더욱 복잡다기한 분열의 언론환경으로 빠져들고 있다.

물론, 사회 분열의 책임을 언론에만 전가하는 것은 부당한 일일 것이다. 민주화 이후 정치가 먼저 정파적·이념적 균열 과정을 거쳤고 거기에 정파적 언론들이 편승, 합세하여 보수·진보 언론이 갈라져 싸웠다. 이런 균열의 소용돌이 속에 시민사회도 동류가 되어 보수와 진보 시민단체들의 반목의 골은 깊어만 갔다. 불행하게도 한국 사회의 분열 과정에서 분열을 제어할 통합의 정치 리더십은 제대로 출현하지 못했고, 사회 통합의 공론장 역할을 하는, 이른바 정론 언론이 자리잡지 못했다. 시장지배적 신문들은 물론이고, 심지어 공영방송조차도 정권의 향배에 따라 이쪽저쪽으로 편향의 길을 갔다.

편가르기에 익숙해져 버린 한국 사회에서 이제 중간, 중도, 중용의 통합 공간에 서는 것은 자칫 패자의 길로 가는 위험한 도박이 돼버렸다. 정치는 중간에서 양 극단의 정치세력을 포용하는 것보다는 보수든 진보든 극단에 서서 중간세력을 끌어들이는 것이 현실에서 먹히는 전략이 됐다. 언론은 언론대로 중도, 실용을 선택하는 것은 회색 또는 색깔없음으로 치부되어 시민들의 관심과 기억으로부터 멀어져 갔다. 그만큼 생존경쟁에서 힘겹게 살아남은 언론들의 언어는 공격적이고 극단적으로 흐를 수밖에 없다. 언론 시장에서 분열의 언론만이 살아남고, 그래서 언론 공간은 분열의 언어들로 넘친다. 치열한 정치투쟁, 시장경쟁을 치러야 하는 언론이 사회 통합을 생각할 겨를이 없다.

분열의 언어로 살아남은 분열의 언론은 이제 종편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그동안 분열됐던 신문들이 보다 개방적이랄 수 있는 방송 공간에서 이제는 통합의 목소리를 낼 수 있을까. 아니 분열의 사슬에서 해방되어 새로운 시대, 창의적인 생각, 신선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공간을 창출할 수 있을까. 현실은 그다지 희망적이지 못한 것 같다. 당장 종편 시장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신문시장에서 살아남는 것보다 훨씬 불투명하다. 지금 종편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바쁘면서도 불안한 눈빛에는 통합을 생각할 여유를 찾기 힘들다. 곧 싸움이 벌어질 것이다. 가뜩이나 담론 과잉 사회에 온갖 극단적이고 분열적인 주장들이 난무할 터인데, 우리 사회가 이것을 어떻게 감당할 수 있을지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마침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스마트폰 방송 등에서 ‘다양한’ 표현의 자유가 실현되기 시작했다. 이들도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간다는 점에서 종편의 강력한 경쟁자이다. ‘나꼼수’ 방송처럼 극단적인 주장, 자유분방한 분열의 언어를 쏟아내는 데에는 이들이 종편보다 훨씬 자유롭고 영악하다. 자기주장에만 매몰되는 분열 언론의 시대, 어찌해야 할까. 사회의 중심을 잡아줄 정론 언론이 그립다.

2011-11-10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