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서울스토리’ 담은 디자인을/이종수 한양대 신문방송학 교수

[열린세상] ‘서울스토리’ 담은 디자인을/이종수 한양대 신문방송학 교수

입력 2010-03-09 00:00
업데이트 2010-03-09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종수 한양대 신문방송학 교수
이종수 한양대 신문방송학 교수
단아하게 한복을 입고 다듬이질을 하는 여인과 빙판 위에서 신나게 팝 음악에 맞춰 춤추는 김연아. 처마에서 떨어지는 물방울 소리가 들릴 듯한 산사와 초현대식 고층건물의 숲. 세계적인 다큐멘터리 채널인 디스커버리가 방영할 ‘힙 코리아(Hip Korea)’에서 김연아 선수를 다룬 ‘서울의 정신’ 첫 장면이다. 세계적 스타덤에 오른 김연아와 더불어 소개될 한국과 서울의 이미지이다.

지난해 이미 디스커버리 사는 ‘힙 코리아’ 시리즈에서 역동적이고 세련된 서울이라는 주제로 한류 스타인 비(정지훈)와 이병헌의 성공스토리를 방영했다. ‘신세대의 생명력으로 터질 것 같은’ 화려한 젊음의 거리도, 복잡하게 부대끼는 서울의 거리도 나온다.

때로 한 도시의 매력은 이방인의 시선을 통해 더 잘 드러나기도 한다. ‘힙 코리아’ 시리즈는 싱가포르 독립제작사인 방(Bang) 프로덕션이 제작하고, 디스커버리 채널로 방영되었다. 방 프로덕션의 대표인 게이코 방은 한국인 남편을 둔 일본계 미국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제작진은 미국인과 영국인이다. 그들이 본 서울이라는 도시의 매력은 무엇일까. 서구 팝문화가 놀랍도록 빠른 속도로 한국 젊은이들의 몸과 마음을 통과한 역동적인 문화융합의 공간이라는 점이다. 또한 전쟁고아의 나라로 기억되는 아시아 변방의 불우한 한 젊은이가 월드스타가 될 수 있었던 기회와 꿈의 도시이기도 하다.

서울은 분명 전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도시 중 하나이다. 도시 외관도 예전보다 세련되어지고 멋진 건물들도 많이 들어섰다. 시원한 한강변, 청계천, 선유도는 서울시민으로서 자랑스럽다. 최근 하버드 대학의 건축특별전에서도 ‘융합하는 흐름’으로 한국 건축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흐름에 주목하고 있다.

서울이 세계 디자인 수도로 선정됐다는 소식도 있었다. 지난달 서울에서 개최된 세계 디자인 도시 행사로 방문한 각국 대표들이 동대문 역사문화공원에서 찍은 기념촬영 사진이 떠오른다. 서울시가 역점을 두고 있는 디자인 플라자 공원사업 공사장 앞이었다. 그들에게 깊게 파놓은 썰렁한 공사 현장이 아닌 예전의 동대문 ‘시장’ 모습을 그대로 보여 주었으면 어땠을까. 혹시 미국에서 온 한국교포 2세 청년처럼 ‘동대문 시장은 제2의 뉴욕’이라고 감탄하지는 않았을까. 서울 도심 속을 잔잔하게 흐르는 청계천 물소리 너머로 누추하지만 정답게 붙어 있는 헌 책방과 활기찬 상인들의 얼굴도 보여 주었으면 좋았을 것이다. 최소한 외국 디자인 전문가들에게서 “디자인은 시민들의 삶과 스토리”, “이전에 살던 사람들은 어디로 갔느냐.”는 식의 점잖은 훈수는 듣지 않았을 것 같다.

흥미로운 것은 서울의 디자인 수도 선정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이다. 대체로 뜨악한 편이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외국인들이 ‘디자인적’으로 극찬하는 건물들이 시민들의 일상과는 관련이 없을 뿐 아니라, 너무 가쁘게 몰아치는 ‘디자인 서울’ 프로젝트가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악다구니 쓰듯이 어지러운 간판도 정말 큰 문제이지만, 방금 머리를 짧게 자른 모범생 같은 똑같은 활자체의 가지런한 간판도 그리 정감이 가지는 않는다. 서울 사람들의 일상과 생존의 추억이 담겨진 과거의 거리들을 너무 말끔하게 지우는 것도 문제이다. 몇 백년 전 분청사기만 역사가 아니라, 몇 십년 동안 억척스럽게 살아왔던 동대문 시장 사람들의 삶, 이태원 이슬람사원 주변 외국인 노동자들이 살고 있는 어지러운 골목길도 서울의 소중한 역사이고 문화이다.

디자인의 원리는 어찌 보면 단순하다. ‘콘텐츠’를 잘 살리는 것이다. 결국 서울 디자인의 핵심은 서울 사람들의 삶의 스토리이다. 그들의 애환과 추억이 묻어 있는 낡은 골목과 최첨단 IT 건물을 멋지게 조화시킬 수는 없을까. 무엇보다 한국이 만들어낸 최고의 스토리는 전세계에 당당한 우리 젊은이들의 생기발랄한 몸짓과 눈빛이다. 배경이 된 것은 무채색 콘크리트 숲에서 우직하게 일해 온 우리 부모세대들의 삶이다. 그 스토리를 잘 담아내는 것이 매력적인 서울 디자인이 아닐까.
2010-03-09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