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소통의 조건들/신방웅 한양대 석좌교수 한국시설안전공단 이사장

[열린세상]소통의 조건들/신방웅 한양대 석좌교수 한국시설안전공단 이사장

입력 2010-03-02 00:00
업데이트 2010-03-02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루 중에 우리가 가장 많이 하는 일은 말하기다. 말을 단 한마디도 하지 않고 지내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사람은 말로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숨을 쉬는 것이 당연해서 공기가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지 못하듯, 말을 한다는 것이 자연스러워서 말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모르고 산다.

이미지 확대
신방웅 한양대 석좌교수·전 충북대 총장
신방웅 한양대 석좌교수·전 충북대 총장
우리는 말의 포로다. 당신이 오늘 아침 우연히 다른 사람한테서 칭찬을 들었다면 온종일 기분이 좋으리라. 아침에 출근하자마자 직장상사한테 야단을 맞았다면 그날은 내내 우울하리라. 이처럼 말은 사람의 기분을 좌우한다. 말은 사람의 몸과 마음에 영향을 준다. 그러니 좋은 말을 하고 좋을 말을 들어야 잘산다고 할 수 있겠다.

자,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좋은 말을 주고받을 수 있을까? 좋은 말은 서로 통한다. 소통하는 말은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게 해야 한다. 첫째는 구체성이요, 둘째는 정성이고, 셋째는 포용력이다. 우리가 흔하게 범하는 좋지 못한 말하기 습관은 바로 이 세 가지가 빠져 있다. 나쁜 말하기 습관을 바로잡자. 쓰는 말이 바뀌면 삶이 바뀐다. 그러니 실천에 옮길 만하다.

말은 구체적으로 해야 통한다. 과일보다는 사과가, 사과보다는 빨간 사과가 더 분명히 서로에게 이해된다. 하지만, 우리는 일상 대화에서 흔히들 생략을 많이 하는 편이다. 왜냐하면 서로 상황을 충분히 알고 있다고 지레짐작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짧은 말 한마디로 소통할 수 있다. “알지?” 이 말 한마디로 완벽하다. 그런 경우는 극히 드물다. 도대체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 안다는 것인가? 직장생활에서 흔히 상사는 부하에게 “그거 됐어?”라고 묻는다. 도대체 그것이 무엇인가? 알 수 없으니 서로 통하지 않는다. 통하지 않으니 자기 관점의 경험으로 단정한다. 독단(獨斷)은 불화(不和)를 부른다. 정확하고도 명확히, 구체적으로 말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통하는 말은 내용보다 그 말하는 태도의 정성이 중요하다. 말하는 내용이 아무리 좋다고 해도 말하는 자세가 나쁘면 반어(反語)적으로 상대한테 해석된다. 분명히, 구체적으로, 제대로 말을 했는데도, 상대의 반응이 기대와 다른 것은 그래서다. “잘됐다.”라는 말은 말하는 어투가 진짜 뜻을 결정한다. 마음을 담아 진심으로 간곡하고도 절실하게 말한다면 말하는 방식도 그렇게 된다. 우리는 상대가 사과를 표현할 때 “미안합니다.”라는 말보다는 어떤 자세로 그 말을 했는지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 진심으로 사과하지 않으면 아예 사과하지 않는 것만 못하다.

상대가 나와 공감할 수 있는 말은 상대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흔히 자기 얘기만 열심히 하고 상대의 얘기는 건성으로 듣는다. 반대로 해 보자. 상대의 상황을 말하여 주는데 관심을 갖고 듣지 않을 사람이 있겠는가. 상대의 입장을 헤아려 주는 말을 하는데 싫어할 자가 있겠는가. 너무나 당연한 이치임에도 이를 실천하기는 대단히 어렵다. 역지사지(易地思之)는 자기 이익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본성상 쉽지 않은 일이다.

상대가 내게 적의(敵意)가 있다면 아무리 좋은 말을 해줘도 대개는 소용이 없다. 상대는 어떻게든 비난으로 해석하려 들기 때문이다. 마음을 닫는다면 아무리 좋은 말도 나쁜 말로 들린다. 그럼에도 그 닫힌 마음을 여는 것은 좋은 말이다. 바른 자세로 좋은 의도로 공감하는 말을 한다면 마침내 통할 수밖에 없다. 그 말이 진심임을 서로 느낀다면 안에서 닫았던 마음의 문은 활짝 열린다.

최근 우리 사회에 말로 말미암은 오해와 싸움이 잦은 것 같다. 차라리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좋았겠다고 후회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말을 안 할 수는 없다. 침묵도 말이라고는 하지만 진정 대화로 소통하려 한다면 좋은 말을 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좋은 말은 긍정을 부르고, 긍정은 사람과 사람을 화합으로 이끌며, 화합은 그 사회의 발전을 이루는 데 원동력이 된다.

더 나은 미래를 열기 위한 오늘의 시작은 말이다. 상대와 통할 수 있는, 좋은 말 한마디가 씨앗이 되어 인류 공영의 커다란 나무가 되는 것이다.
2010-03-02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