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에도 중국 내수가 전처럼 회복되지 않자 알리바바는 물론 공동구매 온라인 플랫폼 핀둬둬는 전략을 바꿨다. 해외로 눈을 돌렸다. 핀둬둬는 2022년 9월 쇼핑앱 테무를 출시, 40개 넘는 국가에 진출했다. 알리바바와 핀둬둬는 나스닥 상장사로 시가총액이 각각 1750억 달러(약 230조원)를 넘는다. 모회사를 등에 업고 엄청난 광고 물량과 할인 혜택으로 무장한 알리와 테무는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다. 국내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인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알리는 올 1월 사용자가 717만명이다. 1년 전의 두 배로, 전체 3위다. 지난해 6월 한국에 진출한 테무는 570만명으로 5위다.
이들은 ‘전 세계의 공장’인 중국 생산자와 한국 소비자를 직접 연결한다. 그동안은 다른 유통업체들이 중국 공산품을 한국에 들여와 이윤을 붙여서 팔았는데 이런 중간 과정이 생략되자 가격 파괴가 가능해졌다. 물론 중간 유통업체들은 수익원을 잃었다. 유통업체의 게임체인저다.
이런 현상은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10월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에서 ‘실크로드 전자상거래 협력’을 주요 과제로 언급했다. 중국 상무부의 올해 핵심 과제는 전자상거래 실크로드 협력 확대다. 디지털경제의 핵심 공간인 전자상거래는 오프라인 생산·유통에 큰 영향을 미친다. 미중 패권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사이버보안과 개인정보보호, 소비자 안전 등에서 세계적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 됐다.
우리만의 해결책은 물류 혁신과 고품질 제품 생산이다. 정부가 늘 강조했던 정책이다. 목표 달성이 쉽지 않다는 의미다. 생산지 가격은 폭락했다는데 소비자 가격이 요지부동이라면 유통 과정 어딘가에 문제가 있다는 뜻이다. 국내에서만 생산 가능한 고품질 제품이라면 도리어 중국 앱이 좋은 판매사원이 될 거다.
2024-02-16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