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닥터카와 골든타임/이순녀 논설위원

[씨줄날줄] 닥터카와 골든타임/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2-12-22 21:56
업데이트 2022-12-23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사기로에 선 응급환자의 목숨을 살릴 수 있는 적정 시간을 골든타임이라고 한다. 재난ㆍ교통사고 등의 중증외상 환자는 1시간, 심혈관질환 환자는 2시간이다. 안타깝게도 골든타임 안에 의료기관에 도착하는 중증응급환자의 비율은 절반이 안 된다. 최연숙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9월 공개한 보건복지부 자료를 보면 2018년부터 올 6월까지 중증응급환자 이송 80만 7131건 가운데 42만 410건, 52.1%가 골든타임을 넘겼다.

1분 1초가 중요한 만큼 신속한 이송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래서 도입된 제도가 닥터헬기와 닥터카다. 전문 의료진이 인공호흡기, 심장충격기 등 장비와 의약품을 갖춘 헬기나 차를 타고 사고 현장으로 출동해 직접 환자를 이송하면서 처치를 할 수 있는 ‘움직이는 응급실’이다. 닥터헬기는 2011년 인천과 전라남도를 시작으로 이달 초 제주 지역까지 총 8대가 거점 응급의료센터에 배치돼 운영되고 있다.

닥터카는 2016년 울산대병원이 처음 도입했다. 이어 2019년 인천 가천대 길병원이 운영을 시작했고, 현재 서울과 세종까지 확대됐다. 닥터헬기는 소음 때문에 야간 비행이 쉽지 않고, 기상의 영향을 받는 데다 이착륙을 위한 헬기장 시설 등 여러 제약이 따르는 탓에 닥터카를 더 늘려 응급환자 이송의 공백을 보완하자는 목소리가 나온다.

의사 출신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태원 참사 당시 현장으로 출동하던 명지병원 재난의료지원팀(DMAT) 닥터카를 집으로 불러 함께 이동하느라 재난 대응을 지연시켰다는 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명지병원 닥터카는 당일 0시 51분 출발해 54분 후인 1시 45분 사고 현장에 도착했는데, 신 의원 집을 경유하면서 20~30분가량 늦어졌다고 한다. 남편까지 동승시켜 ‘현장 그림’을 찍고 15분 만에 현장을 떠나면서 보건복지부 장관 관용차에 올라탄 사실이 드러나 신 의원을 향한 비판 수위는 더 거세졌다.

신 의원은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위 위원을 사임하면서 “국회의원이 아닌 의사로서 수습에 충분한 역할을 하고 도움이 될 거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골든타임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아는 의사이기에 더욱 해서는 안 되는 행위임을 진정 몰랐던 것일까.

이순녀 논설위원
2022-12-23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